-
행성 관측의 희비 교차
-
조회 수: 7818, 2016-03-07 01:21:39(2016-03-03)
-
며칠전 황인준님과 밤샘 수다 떨다가 내년부터는 목성 고도가 매우 나빠지기 시작한다는 말씀을 해주셔서 스텔라리움으로 시뮬레이션 해봤습니다.
현재까지는 목성의 남중 최고도가 약 60도 정도로 관측하기 정말 좋은 고도입니다.
그런대 내년 부터는 남중고도가 우리나라 기준 약 47도 정도이고 점점더 내려가서 30도 이하까지 낮아지게 됩니다.
2018년이 되면 30도가 안됩니다. 그리고나서 2020년도부터 다시높아지기 시작하고 지금정도 이상의 고도가 되려면 2022년도가 되어야 약 48도 정도로 다시올라오게 됩니다.
2022년도 10월 중에 자정을 기준으로 약 52도 정도가 됩니다. 지금 정도의 고도 이상으로 올라가러면 2023년이 되어야 하지요..
즉 우리나라 기준 올해까지가 목성 관측 및 사진을 위한 최고도 이고, 그리고 관측 계절도 좀더 앞당겨지게 됩니다. 목성의 최적 관측이 겨울이 아니고 가을이 되는 셈이지요..
더 재미있는건 이때 하늘에는 목성과 토성이 함께 있습니다. 물론 화성 까지도요..
2022년도의 가을 하늘은 행성 관측이 더 재미있어질 해가 될듯 합니다... 토성과 목성을 하룻밤에 모두 관측 할 수 있다니..
아래 스텔라이움 캡쳐화면의 날짜와 시간을 참고해서 보시길 바랍니다
댓글 7
-
조강욱
2016.03.03 07:16
그때까지 몸건강 눈건강.. ㅎㅎㅎ -
건강해야죠!
-
김철규
2016.03.03 10:35
이 글보고 시뮬레이션 해 봤는데 2년 지나고 3년후엔 염소자리로 올라오더군요. 목성은 그래도 움직임 빠른편이니까 금방 극복되네요. 그나저나 토성은 언제나 고도가 올라 가려나요.... -
네..맞습니다... 어쨌거나 고도가 60도는 넘어야 고배율관측이던, 사진이던 좀더 좋을 확률이 크다보니..
-
김민회
2016.03.03 20:13
차원이 다른 별님들이세요. 근데 오마이갓센타우리는요? -
그녀석은 내내 5.5도 정도의 고도를 유지 하네요.. 앞으로 주욱~~
-
김재곤
2016.03.07 01:21
안성에서 목성 많이 봤습니다.
그런데 밝은 별을 보니 초점이 정확히 안 잡히네요. 어두운 성운 검출력은 더 문제이구요. 근데 시력은 1.2 랍니다. 건강 검진 간호사들이 너무 점수가 후한 건지. 시력이라는 측정 방법이 문제인지...쩝.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416 | 김경싟 | 8540 | 2010-01-24 | |
415 | 조강욱 | 12301 | 2010-01-20 | |
414 |
돌아버릴 처녀은하단!!
+7
| 김남희 | 8623 | 2010-01-19 |
413 |
2010년 신년 가족 관측회
+11
| 김경싟 | 7472 | 2010-01-18 |
412 |
올해의 첫관측기...
+6
![]() | 이욱재 | 9750 | 2010-01-08 |
411 | 조강욱 | 7667 | 2009-12-28 | |
410 |
두번의 천문인 마을
+6
| 김남희 | 8653 | 2009-12-21 |
409 | 조강욱 | 7447 | 2009-12-13 | |
408 | 김경싟 | 10184 | 2009-12-09 | |
407 | 최윤호 | 9147 | 2009-11-28 | |
406 |
싟님 따라 해보기!!
+4
| 김남희 | 9101 | 2009-11-27 |
405 | 김경싟 | 9565 | 2009-11-24 | |
404 | 김경싟 | 9476 | 2009-11-21 | |
403 | 조강욱 | 10654 | 2009-11-20 | |
402 | 조강욱 | 7108 | 2009-11-02 | |
401 | 김경싟 | 8924 | 2009-10-27 | |
400 | 김원준 | 10639 | 2009-10-25 | |
399 | 김남희 | 9099 | 2009-10-21 | |
398 | 조강욱 | 11276 | 2009-10-21 | |
397 | 김경싟 | 10707 | 2009-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