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사진이 제대로 올라갔네요^^;
<3C 273 찾아가기 (부제: 20억 년 전의 광원을 찾아서..)>
안녕하세요. 별하늘지기의 김명진입니다.
카페에 3C 273 Finding Chart 와 세부성도를 관측대상 소개에 올렸는데,
강욱님께서 이 부끄러운 자료를 야간비행에도 공유해 달라 하시길래.. ^^;;
부끄럽지만 혹~~시나 이곳을 찾는 분들 중 단 한 분이라도 도움이 되실 분이 있을지 몰라 올려 봅니다.]
(물런 여기 회원분들은 그런일 없으시겠지요.. ㅎㅎ)
<원본글 일부>
3C 273(Quasar in Vir)의 확인
이건 저도 이번 봄 season에 장비가 구성되는 대로 관측을 나가 1순위로 찾아볼 대상입니다.. ^^
21 억 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는 가장 가까운 Quasar, 3C 273입니다. 팔로마 산 연구팀이 적색편이를 관측해내고 퀘이사라는 것을 밝혀낸 대상입니다. 21억 년 전에 출발한 빛이 30만 km/s 의 속도로 달려서 눈에 들어오는 느낌.. 최근 야간비행 조강욱님이 아인슈타인's Cross를 소개해주신 글을 읽고 많은 감명을 받아.. 저도 그런 느낌을 조금이나마 눈에 담아보고 싶어서.. 10"로도 찾아볼 수 있는 3C 273을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어젯밤 내내 정보를 알아보고, 작전지도를 짰더래죠^^..;
우선, 약 13등급의 별처럼 보이는 퀘이사를 판별해내기 위해서는 적어도 5~6인치, 넉넉잡아 8인치 이상의 장비가 필요할 듯 합니다. 다만 일부 외국의 아마추어들은 3.5인치급으로 관측한 사례도 있네요. 좋은 환경/경험많은 관측자 의 차이가 있으므로 5~6인치 이상이면 일단 장비는 ok인듯 합니다.
일단.. 처녀자리 감마별인 Porrima를 성도상에서 찾고.. 그곳부터 3C 273을 향한 호핑이 시작됩니다.
<찾아가기>

<위 관측지도의 1번에서.. 스위핑 -> 파인더 호핑으로 정정합니다>
파인더로 Porrima에서 7등급 별 3개가 일렬로 나열된 부분으로 호핑합니다.
그리고 오른쪽으로 8등급 별 2개를 차례차례 호핑하며 나아가면.. 위 성도상에서와 같이 두 별과 3C 273이 이등변삼각형을
만들게 됩니다. 여기까지 왔다면 40%는 해결한 것 같습니다.
이제부터는 주망원경으로 찾아야 합니다. 3C 273 주변 부분 확대해 봤습니다.
<대상부분 확대>

삼각형은 약 1.5도에 걸쳐 있으므로 중대구경 저배율 아이피스 한 시야에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이제 박스 안에 표시한 것처럼.. 다른 별들과 3C 273을 구분해야 하는데..
박스 내부 좌상단 부분에 있는 별꼴과 우하단 부분에 있는 9~10등급 별들의 별꼴을 이용해서 가운데에 있는 3C 273을 찾아낼 생각입니다..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습니다.
그렇게 박스 중심부의 정확한 위치를 중배율로 잡으면,, 13등급 가량 별 2개가 있는데 그 중 성도상으로 왼쪽에 있으며 약간 더 밝고 청색으로 보이는 것이 3C 273입니다.
그리고.. 조강욱님의 의견대로 쉽게 판별하지 못할 것 같아 정확한 확인을 위해 세부성도를 하나 더 만들었습니다.
<세부확인성도>

안보이시는 글씨는 사진클릭후 돋보기해 보세요. (원본은 NADA의 김영재님이 올려주신 파인더차트입니다,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 역시 관측할 생각에 기분이 들뜹니다. 비록 80억 광년 거리의 아인슈타인 크로스보다는 못하겠지만 10"로 21억 광년, 공룡도 살기 훨씬 이전에 여행을 출발한 빛을 눈에 담는다는 것 또한 그에 못지않게 매우 흥분되고 즐거운 일이겠지요.. ^^
제가 우주를 좋아하고 별을 보는 이유는.. 인간이 볼 수 있는 가장 큰 것, 가장 먼 것, 가장 오래된 것, 가장 아름다운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런 사소한 대상들도 진심으로 와닿으며 좋아하게 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까지 "3C 273 찾아가기" 소개를 해 보았습니다. 읽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지적이나 오류/문의 모두 감사히 받겠습니다..
별것 아니지만 몇몇 분에게나마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즐겁고 좋은 관측 되세요..^^
p.s.1 참, 사용한 성도는 Triatlas B-C 중간버전 제본판입니다.
p.s.2 이제야 사진 원하는 곳에 여러 장 올리는 법을 알았네요. 조강욱님 링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