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원경 자작정보 ~☆+

  • 평행사변형 마운트(Parallelogram Mount) 자작기
  • 조회 수: 783, 2024-07-30 09:47:21(2024-07-18)
  • pm2.jpg

    평행사변형 마운트(Parallelogram Mount)



    0. 제작 계기

     

    과거 Sky&Telescopes 잡지를 구독하던 중에 이런 걸 본 기억이 있습니다.


      Skyandtelescopes_Dec07.jpg

    (출처 : S&T December 2007)


    의자에 앉아 손을 대지않고 쌍안경을 본다는, 게으름(?)의 발로가 만들어낸 역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쌍안경 접안부가 45도 또는 90도가 꺽여 있어서 밤하늘을 관측하는데 편리하게 만드는 제품도 있지만, 다소간 가격이 비싼 것도 사실입니다. 관측상 호불호가 갈리는 영역도 있구요... 기존 쌍안경도 활용하면서, 의자에 앉아서도 편안하게 볼 수 있는 것을 찾다보니,,, 평행사변형 마운트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가끔씩 대안학교 아이들한테 별을 보여줄 때 쌍안경이 주는 매력도 있어서 하나 만들어보는 것도 괜찮겠다 싶었습니다.


    youtube_parallelogram mount-1.jpg youtube_parallelogram mount-2.jpg youtube_parallelogram mount-3.jpg
    (출처: https://youtu.be/Ge4YjM3wHlk?si=1bIRjuTZDEH-7vcL)



    여기 이분 영상을 모델로 하였습니다. 생각보다 구조적으로는 간단한 것 같아서 시도를 해봤습니다.

     


    1. 전체적인 구조


    pm1.jpg pm3.jpg pm4.jpg


    이름 그대로 평행사변형의 모습으로 생겼습니다. 아무리 움직여도 쌍안경 마운트는 평행사변형처럼 기둥 방향과 같은 방향을 유지합니다. 사진에서는 쌍안경 크기에 비해서 무게추가 좀 무거운지 안쪽으로 많이 치우쳐 있습니다. 무게중심만 잘 맞추면 자유롭게 움직이고 잘 멈춥니다. 생각보다 아주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쌍안경 마운트 부분

     

    결국 평행사변형 마운트도 경위대의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수평(좌우방향), 수직(고도방향) 두 방향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수평 방향은 기둥쪽이 담당하게 되고, 수직방향은 쌍안경 마운트 부분을 움직여야 가능합니다.


    pm6.jpg


    붉은 색 부분을 보면 두 방향으로 꺽이게 되어 있는데, 좌측에 있는 관절(?)은 수평방향을 보조하는 관절이라 없어도 되지만, 우측에 있는 관절은 쌍안경이 바라보는 수직방향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관절입니다.


    pm5_마운트 두께 늘기기.jpg


    마운트 부분은 한겹짜리가 있고 두겹짜리가 있는데, 위 사진은 좀 더 큰 쌍안경을 쓸 걸 대비한 두겹짜리 버전입니다.


    pm7.jpg


    마운트 부분이 무거워지니 위에 보이는 연결 부위가 잘 버틸지 걱정이 좀 됩니다. 철물은 스텐인리스 5T짜리라 꿈쩍도 안하지만, 나무 쪽이 조금 불안합니다 (그래도 50-70mm정도의 작은 쌍안경은 테스트해 본 결과로 아무 문제없이 잘 버팁니다).

     


    3. 카메라 헤드 활용


    pm8.jpg pm9.jpg


    마운트 관절 부분이 불안정하다면 아예 마운트 부분을 떼어내고 그 자리에 3Way 카메라 삼각대 헤드를 붙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탄탄하게 연결됩니다. 약간 불편함만 감수한다면 훌륭하게 활용할 수 있을 듯 합니다.

     


    4. 기둥부분


    pm10.jpg


    구조적으로 가장 튼튼하게 연결이 되어야할 기둥 부분입니다. 수평(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부분이라 마찰면에 테프론 판을 사용하였습니다. 돕소니언 수평베어링이랑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tripod.jpg


    삼각대는 비디오용 삼각대입니다. 비디오 헤드부분을 제거하면 카메라용에 비해서 삼각대 머리 부분이 충분히 크고 비어있어서 보강판 하나면 충분합니다.

     

     

    5. 무게추


    무게추.jpg  무게추-2.jpg


    무게추는 좌우로 균형을 맞춰 고정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제가 사용한 무게추는 2.8kg이고, 적도의 용 무게추입니다. 쌍안경이 크지 않다면 조금더 가벼운 무게추도 괜찮을 듯 싶습니다.

     

     

     

    장마철인데, 즐거운 자작 생활로 아쉬움을 달래 보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4

  • Profile

    김원준

    2024.07.19 13:29

    손재주가 좋으십니다.
  • 이현동

    2024.07.30 09:26

    ㅎ 오랫만에 한번 해봤습니다~ 요즘 워낙 편리하긴 한 것 같습니다~

  • 김철규

    2024.07.21 10:05

    멋진데요. 우리 관측지에도 하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현동

    2024.07.30 09:47

    사실 그렇게 견고한 느낌은 아니고 작은 쌍안경들 위주로 운용하는 정도지 싶습니다. 만들기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니 재미로 한번 만들어 보시는 것도 괜찮은듯 합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326 김남희 3146 2022-02-06
325 김남희 3060 2022-01-29
324 류혁 3905 2022-01-15
323 조강욱 2428 2021-08-25
322 류혁 2878 2021-02-18
321 이현동 2456 2020-12-06
320 김원준 3197 2020-08-20
319 김남희 3579 2020-07-26
318 김남희 2221 2020-07-11
317 김남희 3227 2020-07-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