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13] 착한 사람에게만 보이는 프로펠러 [스케치]
  • 조회 수: 11447, 2016-09-08 05:11:55(2016-09-05)
  •   

    북반구 중위도에 사는 관측자에게 M13은 특별한 존재이다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보기 좋은 구상성단이기 때문이다.

     

    과연 진짜로 그럴까?

     

    전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구상성단부터 순서를 매겨 보자.


    top10.jpg

     


    13번의 위치는 Top 5에도 들지 못하고 겨우 7번째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보이는 대상 중에서도 22, 5번보다 밝기가 어둡다.

     

    다만 앞 등수의 위인들보다 하나 우세한 것은 남중고도 뿐.

     

     

    왜 그런 것일까? 밤하늘의 왕건이 구상성단은 모두 하늘의 남쪽에 있다

     

    아무리 13번이 멋져도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는 5139 104에는 비할 바가 못 되는 것..

     

    그리고 남반구의 높은 고도에서 보는 22번 또한 북반구의 13번보다 화려한 위용을 자랑한다

     

     

    뭐 어쨌든, 대부분의 별쟁이들은 북쪽 땅에 산다. 그래서 과거부터 13번에 대한 관측 기록도 많고,

     

    현재도 과분한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이다.

     

    사람이든 별이든 터를 잘 잡아야 한다

     

     

     

    19세기 최고의 별쟁이이자 구경병의 조상님이었던 아일랜드 로스경의 스케치를 보면

     

    성단 사이의 갈라진 틈, 일명 벤츠 로고를 잘 볼 수 있다

     

    [ Rosse's Propeller (1850년대) ]

    Rosse.jpg

      


    근데 하나 의아한 것은.. 로스경의 (실은 조수가 한) 스케치에선


    성단 정중앙을 장대하게 지나가는 암흑대가 표현되었는데


    현대의 관측자들은 한 귀퉁이에서 암흑대를 찾는다는 것이다

     

    미국 관측자들은 주로 프로펠러라고 한다


    [ M13, Roger Ivester (연도 미상) ]

    Roger.jpg


     

    우리나라 별쟁이도 한 번!


    [ M13, 임광배 (2013) ]

    임광배.jpg  

     

    19세기 로스경의 스케치는 그냥 대충 그린 것일까?


    아니면 시선방향으로 훨씬 가까이 있는 암흑성운이


    150년 사이에 슬금슬금 옆으로 이동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

     


    ※ 13번의 프로펠러에 대한 자세한 얘기는 김민회님의 멋진 글로 대신한다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179803




    나도 프로펠러가 대체 무엇인지 궁금하여 


    2012년 인제의 어두운 하늘에서 2시간 동안 꼼짝 않고 앉아서

     

    샤프로 점을 찍어 보았다

     

     

    [ M13 - 인제에서 조강욱 (2012) ]

    M13.JPG


     

    13번의 구조는 그 크기와 밝기 만큼이나 다채롭다


    여러 줄기의 스타 체인과 빽빽한 내부 별들.


    휴 이걸 언제 다 그려....



    별이 더 많은 오메가 센타우리는 어떻게 찍었는지 잘 기억도 안 난다;;;

     

    [ 오메갓! 센타우리 - 호주 원정에서 조강욱 (2010) ]

    5139_s.jpg



     

    전체적인 모습은 다리 긴 빛나는 거미 같은 형상으로 보이는데,

     

    프로펠러는 한참 봐도 찾기 어렵다



    결국 같이 갔던 프로펠러 본 남자들의 코치를 받고서야 한쪽 구석에서 쪼끄만 프로펠러를 찾았다


    애걔.. 겨우 요만한 거네~


    북반구 최고의 구상성단의 위용과는 어울리지 않는 귀여운 프로펠러..

     

    보기가 어렵다기보다는 어떻게 보이는지 모습과 요령을 몰랐던 것이다

     


    (Description)

    Des.jpg

     

     

    M13 근처에는 볼만한 (또는 볼만하지 않은) 은하 두 개가 위치해 있다

     

    하나는 13번만큼 사랑받은 NGC 6207번 은하다. (6~8인치로도 잘 보인다)

     

    작지만 밝은 측면은하라 아이피스에 13번을 잡아놓고 그냥 휘휘 돌려도 얻어 걸리기도 하는 정도인데..

     

    그리고, M13NGC 6207 사이에는 훨씬 더 작은 은하가 하나 있다

     

    아래 빨간 동그라미에 있는 아이다.

     

    ic4617_6.jpg

    (자료 출처 : 야간비행 김경싟)

     

     

    이름은 IC 4617. 본인 망원경이 15인치 이상이라면 


    아래 정도 디테일의 사진 성도와 함께 한 번 시도해보자

     

    언젠가는 볼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

     

    ic4617_5.jpg

     

    (가장 좋은 방법은 야간비행의 4617번 관측기록들을 검색하여 읽어 보는 것이다)


     

     

    다시 내 그림 얘기로 돌아가서..

     

    13번을 관측한 날, 주중의 무리한 번개 관측이었음에도 하늘이 좋고 점이 잘 찍혀서(?)

     

    노래를 부르며 집에 돌아왔다. 회사에서도 피곤한줄도 졸린줄도 모르고 하루를 보냈다

     


    며칠뒤 노동절, 울 마나님과 오붓하게 과천 현대미술관에 놀러갔다


    (딸님은 당시 유치원에 다녔는데, 유치원 교사는 노동자가 아니라서 안 쉰단다)


    마침 한국의 단색화전을 하고 있어서


    이우환 화백 그림의 원작을 감상하고 싶은 소망을 품고 멀리 과천까지 출동한 것인데,


    맨날 새끼손가락만한 사진으로 그림을 보다가 2미터가 넘는 원작들을 감상하니


    감동은 무한대로 확장된다.


    역시 그림은 크게 그려야 제 맛.

     


    하지만 전시회에서 가장 큰 감동을 받은 작품은 이우환 화백이 아니라


    뜻밖에도 곽인식 화백의 점그림 연작이었다

     

    곽인식.jpg

    (출처 : 구글 이미지)



    작품의 '공식적인' 의미는 물론 전혀 다른 것이었지만


    나에게 그 작품들은 완벽한 별그림 그 자체였다


    어떻게 저렇게 간결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점을 찍을 수 있을까?



    집에 돌아와서 미술관에서의 영감이 희미해지기전에


    간만에 유화지와 아크릴 물감을 꺼내들고, 옆에 13번 스케치를 펼쳐놓고


    아크릴 물감으로 13을 재구성한다


    큰 붓으로 동일한 크기의 묽은 점을 겹쳐 거칠게 찍고,


    세필을 들고 M13임을 증명할 수 있는 몇 가지 상징을 표시했다


     

    [ M13, 캔버스지에 아크릴 - 조강욱 (2012) ]

    아크릴.jpg

     

    , 이 그림은 올해 천문연구원 천문달력에도 실려 있다 (자랑 자랑)

     


    나는 2시간 넘게 쥐잡듯이 샤프로 정밀묘사를 한 M13보다

     

    큰 붓으로 거칠게 표현한 M13이 더 마음에 든다

     

    내 눈으로 아이피스를 통해 본 모습과 더 유사하기 때문이다.


    재구성.JPG

     

     

    천체스케치를 함에 있어서 표현의 한계는 없다.

     

    다만 무슨 짓을 해야 더 사실감이 살아날지 무한한 노력이 필요할 뿐이다

     

     

     

      

                                                                  Nightwid 無雲

     

댓글 2

  • 김민회

    2016.09.08 02:45

    천문달력에 실린 그림은 참으로 멋진 작품예요. m13의 특징과 더불어 느~낌도 들어 있어요. 곧 멋진 그림 따라 잡을 거예요. ㅎㅎ
  • 조강욱

    2016.09.08 05:11

    빨리 오세유

    심심해요 ㅎㅎㅎ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1471
  • 스케치
  • 목성 - 금성이 거의 붙었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집앞에 나왔는데 망경으로는 두별 사이 거리가 넘 멀어서 한시야에 안나온다. 스케치 포기! 일요일에 최근접인데 날씨가 안도와줄듯.. 여튼 기다려야지 금성-목성 최근접 당일은 먹구름으로 꽝. 다음날 보니 이미 조금 멀...
2020-03-23 05:34:11 / 2020-03-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45
  • 스케치
  • 설날 아침, 1만KM 북쪽의 부모님댁 대신 150KM 북쪽의 캠핑장으로 향했다 학교 개학을 맞은 딸님을 위로하고 유치원쌤으로 열심히 돈버시는 와이프님을 치하하고 밤에는 모두 재우고 별을 보겠다는 흑심을 품고 텐트에 망원경까지 모두 싣고 떠났다 전화도 안터지는 깡...
2020-01-30 16:07:45 조강욱 / 2020-01-29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3037
  • 스케치
  • 원문출처 : http://blog.daum.net/damur21/335 인간이 경험할 수는 있는 천문현상은 여러가지가 있다 흔히 볼수 있는 별똥별(유성우), 월식, 수퍼문, 수퍼화성, 오성결집, 혜성, 토성엄폐, 초신성폭발 그리고 일식이 있다. 이중 인간이 생애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천문...
2019-10-23 02:11:31 신기루 / 2019-07-10
no image
  • 김영주 조회 수: 3213
  • 스케치
  • 광덕산 조경철천문대 관측날씨가 절망적이었음에도 목성시상은 유별나게 좋았다. 선명한 줄무늬가 독보적이었던 이날 만약 대적점이나 영 또는 식 현상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좀더 기달려 대적점이라도 그려볼까 잠시 고민했지만 다음날 출근부담때문에 급하게 철수할수...
2019-11-04 20:32:49 조강욱 / 2019-06-11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2473
  • 스케치
  • 6월의 푸르른 신록과 광덕산이 가지는 새까만 어두움..... 미세먼지로 인해 신록과 새까만 어둠이 사라졌다 그 자리에 잿빛 어둠만이 별지기의 마음 속에 음습한다. 아.........별이여!!!
2019-07-11 02:38:15 김원준 / 2019-06-05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2521
  • 스케치
  • 토성을 그려본다. 토요일 하루 종일 주적주적 비가 내리니.....하릴없이 하늘만 쳐다볼 수 는 없는 느릇 막둥이는 나가자고 졸라대지만 이 아빠도 나가고 싶다 격렬하게 나가고 싶다....근데 어쩌니? 비가 이리 오는데 그림 그리자고 꼬셔본다. 금새 넘어온다. 막둥이는 ...
2019-10-13 03:36:12 조강욱 / 2019-05-29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3068
  • 스케치
  • (첫번째 습작) 2월 서울에서 시그마 150-500mm 망원렌즈로 찍은 달을 스케치로 재탄생시켜봤다. 주말내내 비도 오고....집에만 있기 영 심심해서 습작을 남겨봤다. 2월쯤 서울 도심에서 달을 찍은것이 있어 한번 스케치로 도전해봤다. 달은 분화구 하나하나를 사실적으...
2020-03-27 09:08:17 신기루 / 2019-05-29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2645
  • 스케치
  • 퇴근길 지하철에서 천문연주체 천문사진전 당선작을 발표했다는 카페글을 보고위에서부터 천천히 스크롤을 내리며...마치 도리지구땡의 쪼으는 맛으로 천천히...... 헛! 역시나 그분의 스케치...그 다음은....땡!!! 올해로 두번째 탈락이네요 ㅎㅎㅎㅎㅎ 2018년 11월 정...
2019-04-25 07:53:55 신기루 / 2019-04-09
thumbnail
  • 김선영 조회 수: 3083
  • 스케치
  • 안녕하세요? 올해 한해 1년간 멜버른에 업무차 장기 출장을 나오게 되었습니다. 출장간 김에 남천의 하늘을 보고 있습니다. 김남희님께 뺏아온(?) 12인치 트래블돕은 아직 한국에서 발송 대기 중이라서 아쉽지만 핸드캐리해 온 3인치 굴절로 보고 있습니다. ASV라는 빅...
2019-04-23 07:44:43 랜슬롯 / 2019-03-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686
  • 스케치
  • 2016년 8월, 메시에 스케치 연재를 시작했다 2016년 7월(한달 전)에 M24를 마지막으로 메시에 110개 스케치를 마치고 내가 손으로 그리고 마음으로 담아 두었던 대상들을 하나하나 정리해 보고 싶었다 1996년 대학교 1학년 여름방학에 공사장 노가다 알바로 첫 망원경(8...
2019-04-14 07:18:38 조강욱 / 2019-01-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