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76] 한 마리 나비를 찾기 위하여 [스케치]
  • 조회 수: 7187, 2017-09-26 21:12:52(2017-09-26)

  • 소아령성운.

    일본어 스타일의 이름인 것도 같지만

    영어로도 little dumbbell nebula인 것을 보면 동양이나 서양이나 보는 눈은 비슷한 것 같다.

    76번은 메시에 110개 대상 중에 가장 어두운 아이 중 하나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 보면 생각보다 꽤 밝은, 작은 성운 뭉치를 만날 수 있다.

    대상의 등급(Magnitude)과 표면밝기(Surface brightness)는 다르기 때문이다

    Magnitude는 면적을 가진 대상을 한 점에 모았을 경우를 가정하여 밝기를 계산하므로

    작고 밝은 대상보다 흐리지만 면적이 큰 대상의 Magnitude가 더 높다

    안시로는 가장 밝은 멕시코만 쪽만 억지로 보이는 북아메리카 성운의 Magnitude가 

    무려 4등급인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76번은 10.1등급이다)

    따라서 성운 관측시에는 꼭 표면밝기를 확인해 보아야 한다. 

    멋진 천체사진만 보고서 관측 대상을 정한다면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M76은 작지만 밝다. 조금만 주의깊게 형체를 찾다보면

    흰 벽돌 두 개를 붙여놓은 것 같은 특유의 모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거기에서 M27, 진품 아령성운을 연상하는 것도 어렵지 않은 일이다.

    LDB.jpg 
    (출처: http://www.astroimages.org/ccd/pics/m76-lrgb-crop.jpg)


    몇년 전, 천체스케치의 명인인 윤정한님의 76번 스케치를 보니

    거기엔 아령이 아니라 한 마리 나비가 날고 있었다

    이런 모습이 15인치에서 보일 것이라고는 생각조차 해보지 않았는데

    10인치로 관측한 스케치에서도 그 모습은 명확하게 보였던 것이다.

    [ M76, 태기산에서 윤정한 (2000) ]

    M76_Yoon.png


    얼마 뒤, 천문인마을에서 한밤중에 검은 종이에 파스텔로 흰벽돌 두 장을 쌓고 

    찬찬히 나비 날개를 찾아본다

    한참을 지나서, 어떻게 알았냐고 묻듯이 여리지만 커다란 날개가 슬며시 살짝 드러낸다.

    첫 방문에 제 모습을 온전히 허락하지는 않은 도도한 아이지만 말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 성운은 특히 더 그렇다


    [ M76, 천문인마을에서 조강욱 (2014) ]

    M76_Nightwid.jpg






                                      Nightwid 無雲


    1200_별보기_표지입체.jpg

댓글 1

  • 김철규

    2017.09.26 21:12

    여기 아래 메뉴에 있으니까 글이 올라와도 잘 알 수가 없네요. ^^; 뉴질랜드에는 무사히 잘 돌아가셨나요? 76번을 20인치로 보니까 나비의 양쪽으로 휘감아 도는 성운기가 모두 보이더군요. 확실히 구경이 중요한가 봅니다. ㅎ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00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388
  • 스케치
  • 산개 밭인 겨울 하늘에서 레어 아이템인 성운이면서도 42번의 위세에 숨도 제대로 쉬기 어려운 78번.. 맑고 투명한 밤에도 78의 흐리멍텅함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반사성운은 어쩔 수 없는 것일까? 좀 더 잘 볼 수는 없을까 하여 반사성운에 어이없이 UHC를 달...
2017-11-20 18:43:09 정병호 / 2017-1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20
  • 스케치
  • 별쟁이들에게 77번의 이름이 불리우는 것은 보통 두 번 뿐이다. 메시에 마라톤 하는 날 초저녁과 Seyfert 은하의 예로 들 때 말이다. 세이퍼트 세이펄트 세이펄ㅌ 발음이야 어찌되었던 나도 대학교 시절부터 동아리 후배들에게 “이건 Seyfert 은하야”라고 주입식 교육을...
2017-10-09 16:36:16 / 2017-10-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187
  • 스케치
  • 소아령성운. 일본어 스타일의 이름인 것도 같지만 영어로도 little dumbbell nebula인 것을 보면 동양이나 서양이나 보는 눈은 비슷한 것 같다. 76번은 메시에 110개 대상 중에 가장 어두운 아이 중 하나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 보면 생각보다 꽤 밝은, 작은 성운 ...
2017-09-26 21:12:52 진진아빠 / 2017-09-2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403
  • 스케치
  • M75의 공식적인 소속은 궁수 군단의 수많은 구상성단 중의 하나지만 모두가 원하는 핫플레이스인 주전자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서 궁수의 외딴 변방을 홀로 지키고 있다 (Reference: http://www.messier-objects.com/messier-75/) 주전자 뚜껑에서 멀어질수록, 그에 비례...
2017-09-11 20:39:52 / 2017-09-11
thumbnail
  • 신상옥 조회 수: 8451
  • 스케치
  • 안녕하세요. 15인치 돕으로 인사드린 남양주 신상옥입니다. 돕을 들인후 스케치를 하기로 마음먹고 지난 주말 관측때 첫 스케치(http://singamdoks.blogspot.kr/2017/08/m57-ngc6910.html)를 그렸습니다. 부족함이 많다고 생각되고, 잘 정리되어 있는 조강욱님의 스케치 ...
2017-09-05 17:29:59 최윤호 / 2017-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23
  • 스케치
  • 많은 책에 명시되어 있다. 메시에 110개 중 가장 어려운 대상은 74번이라고 253은 낮으니까 그렇다 쳐도, 메시에가 7331이랑 2903은 못 찾았으면서 74번은 어떻게 찾았을까? (사실 최초 발견자는 피에르 메시엥이긴 하지만.. 어쨌든 그 사람도 7331과 2903을 못 찾았긴 ...
2017-08-01 16:50:35 / 2017-08-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54
  • 스케치
  • 73번은 40번과 함께 가장 어이없는 메시에 대상이다 40번은 이중성이니 나름 Deep-sky라고 해줄 만도 한데.. 73번은 대체 뭔가. 그냥 별 4개 모여있는 Asterism(별무리)인데 말이다 이정도 모양은 아이피스 안에서 하늘만 몇 번 휘휘 저어도 수십 개는 찾을 수 있다 178...
2017-07-19 12:26:05 관심은하 / 2017-07-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47
  • 스케치
  • 나는 아이피스 안에 여러 대상이 같이 보이는 것, 적어도 근처에 무언가 다양한 것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들을 좋아한다 그래서 밤하늘의 여러가지 커플들을 감상하는 것을 즐기는데, 염소자리 위쪽의 72 & 73은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볼품없는 커플일 것이다 73번...
2017-07-17 05:59:47 / 2017-07-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11
  • 스케치
  • 71번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대상이다 이게 정말 구상성단이 맞을까? 생긴거는 꼭 산개성단 M11 비슷하게 생겼는데.. 우리들 뿐 아니라 천문학자들도 1970년대까지는 M71을 산개성단으로 분류해 놓았었다 최근에야 구성 별들의 성분 분석을 통해 구상성단임이 밝혀진...
2017-07-10 03:21:16 / 2017-07-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