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74] 가장 어려운 메시에 대상 [스케치]
  • 조회 수: 8223, 2017-08-01 16:50:35(2017-08-01)


  • 많은 책에 명시되어 있다.

    메시에 110개 중 가장 어려운 대상은 74번이라고

    253은 낮으니까 그렇다 쳐도, 메시에가 7331이랑 2903은 못 찾았으면서 74번은 어떻게 찾았을까?

    (사실 최초 발견자는 피에르 메시엥이긴 하지만.. 어쨌든 그 사람도 7331과 2903을 못 찾았긴 마찬가지)


    실제로 74번은 정통파(?) 정면 나선은하다

    거기에다 표면밝기마저 높지 않다

    여기에 결정타로, 그 어려운 애를 메시에마라톤에서 아직 완전히 어두워지기도 전에 가장 먼저 찾아 놓아야 한다

    (나도 10여년 메시에마라톤 하면서 한 번도 74번을 담아 본 적이 없다)

    간혹 평소에 한번 찾아봐도 나선팔은 고사하고 Core도 희끄무레하게..

    애증의 대상이 아니라 그냥 무관심의 대상이 될 수밖에.


    M74 (SkyView 추출, 0.3도 영역)
    m74_pic.jpg



    2010년 천문인마을 스타파티. 

    스케치의 힘만 믿고.. 패다보면 나선팔이 보이겠지.. 하는 단순한 생각으로 74번을 잡고 관측을 시작했다

    10분 경과. 그냥 솜뭉치..

    20분 경과. 주변의 잔별들 찍으면서 눈알 워밍업 좀 하고 암적응과 집중도를 높이면 먼가 더 보이겠지..

    30분 경과. 이건 뭐 그냥 솜덩이에 불과하다

    투명도 6등급 날씨에 15인치로 30분을 봐도 나선팔의 흔적도 안 보이면 대체 너는 메시에가 맞는거냐?

    Starlike nucleus와, 원형의 희미한 헤일로 중앙에 bar(막대나선)와 같은 구조가 언뜻 보인다


    원래는, 스케치의 선입견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측 도중에는 NSOG를 잘 안 보는데..

    74번의 의미있는 스케치를 위해서는 컨닝을 좀 해야겠다.. 

    관측하는 모습과 동일해지도록 NSOG의 74번 사진을 방향을 틀어서 준비해 놓고

    아이피스와 내 스케치와 NSOG를 번갈아가면서 대조 작업을 한다

    분명히 저 위치에 나선팔이 뻗어야 하는데.. 사진과 비교하면서 봐도 나선팔은 잘 떠오르질 않는다

    설상가상으로 스타파티라 아까 여기저기서 한두잔씩 마신 술이 올라오는지 피곤이 급속히 밀려온다

    관측하다 서서 졸고, 별 찍다가 졸고.. 

    겨우 잠을 쫓아가며 눈알을 부릎뜨고 굴리다보니, 

    사진의 이미지를 생각하면서 표적수사(?)를 하던 지역에서 

    두 줄기.. 아주아주 희미한 나선팔의 성운기가 살짝 나타났다 사라진다.

    스케치에는 보이는 모습보다 아주아주 선명하게 그렸는데,

    희미하게 주변시로 겨우 보인다고 그림도 그렇게 그려 놓으면 보는 사람이 주변시를 쓸 수도 없고 보기가 어려우니

    보이는 것보다 강조해서 그린다는 스승님의 철학을 받들어.. 나도 따라해 본다.


    [ M74, 천문인마을에서 조강욱 (2010) ]

    M74_ori_101010.jpg









                           Nightwid 無雲


    1200_별보기_표지입체.jpg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00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388
  • 스케치
  • 산개 밭인 겨울 하늘에서 레어 아이템인 성운이면서도 42번의 위세에 숨도 제대로 쉬기 어려운 78번.. 맑고 투명한 밤에도 78의 흐리멍텅함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반사성운은 어쩔 수 없는 것일까? 좀 더 잘 볼 수는 없을까 하여 반사성운에 어이없이 UHC를 달...
2017-11-20 18:43:09 정병호 / 2017-1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20
  • 스케치
  • 별쟁이들에게 77번의 이름이 불리우는 것은 보통 두 번 뿐이다. 메시에 마라톤 하는 날 초저녁과 Seyfert 은하의 예로 들 때 말이다. 세이퍼트 세이펄트 세이펄ㅌ 발음이야 어찌되었던 나도 대학교 시절부터 동아리 후배들에게 “이건 Seyfert 은하야”라고 주입식 교육을...
2017-10-09 16:36:16 / 2017-10-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187
  • 스케치
  • 소아령성운. 일본어 스타일의 이름인 것도 같지만 영어로도 little dumbbell nebula인 것을 보면 동양이나 서양이나 보는 눈은 비슷한 것 같다. 76번은 메시에 110개 대상 중에 가장 어두운 아이 중 하나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 보면 생각보다 꽤 밝은, 작은 성운 ...
2017-09-26 21:12:52 진진아빠 / 2017-09-2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403
  • 스케치
  • M75의 공식적인 소속은 궁수 군단의 수많은 구상성단 중의 하나지만 모두가 원하는 핫플레이스인 주전자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서 궁수의 외딴 변방을 홀로 지키고 있다 (Reference: http://www.messier-objects.com/messier-75/) 주전자 뚜껑에서 멀어질수록, 그에 비례...
2017-09-11 20:39:52 / 2017-09-11
thumbnail
  • 신상옥 조회 수: 8451
  • 스케치
  • 안녕하세요. 15인치 돕으로 인사드린 남양주 신상옥입니다. 돕을 들인후 스케치를 하기로 마음먹고 지난 주말 관측때 첫 스케치(http://singamdoks.blogspot.kr/2017/08/m57-ngc6910.html)를 그렸습니다. 부족함이 많다고 생각되고, 잘 정리되어 있는 조강욱님의 스케치 ...
2017-09-05 17:29:59 최윤호 / 2017-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23
  • 스케치
  • 많은 책에 명시되어 있다. 메시에 110개 중 가장 어려운 대상은 74번이라고 253은 낮으니까 그렇다 쳐도, 메시에가 7331이랑 2903은 못 찾았으면서 74번은 어떻게 찾았을까? (사실 최초 발견자는 피에르 메시엥이긴 하지만.. 어쨌든 그 사람도 7331과 2903을 못 찾았긴 ...
2017-08-01 16:50:35 / 2017-08-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54
  • 스케치
  • 73번은 40번과 함께 가장 어이없는 메시에 대상이다 40번은 이중성이니 나름 Deep-sky라고 해줄 만도 한데.. 73번은 대체 뭔가. 그냥 별 4개 모여있는 Asterism(별무리)인데 말이다 이정도 모양은 아이피스 안에서 하늘만 몇 번 휘휘 저어도 수십 개는 찾을 수 있다 178...
2017-07-19 12:26:05 관심은하 / 2017-07-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47
  • 스케치
  • 나는 아이피스 안에 여러 대상이 같이 보이는 것, 적어도 근처에 무언가 다양한 것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들을 좋아한다 그래서 밤하늘의 여러가지 커플들을 감상하는 것을 즐기는데, 염소자리 위쪽의 72 & 73은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볼품없는 커플일 것이다 73번...
2017-07-17 05:59:47 / 2017-07-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11
  • 스케치
  • 71번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대상이다 이게 정말 구상성단이 맞을까? 생긴거는 꼭 산개성단 M11 비슷하게 생겼는데.. 우리들 뿐 아니라 천문학자들도 1970년대까지는 M71을 산개성단으로 분류해 놓았었다 최근에야 구성 별들의 성분 분석을 통해 구상성단임이 밝혀진...
2017-07-10 03:21:16 / 2017-07-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