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57] 밤하늘의 성자 [스케치]
  • 조회 수: 11586, 2017-02-17 04:31:14(2017-02-17)


  • 하늘에 57 같은 아이가 또 있을까?


    망원경이 크던작던

    서울이던 시골이던

    초보라도 고수라도

    맑던 흐리던

    천정인지 지평선인지


    아무 관계 없이 

    57번 고리성운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온전히 모두 내어준다

    (이 봉사는 11번이나 42번의 그것과는 또 다르다)


    그리고 이 밤하늘의 성자는 

    수많은 악행을 저지르고 다니는 Veil 성운과는 그 대척점에 있다

    무조건 제일 큰 망원경과 가장 어두운 관측지와 오랫동안 훈련된 눈과

    최고로 투명한 날을 택해 하늘 꼭대기에 뜨기를 기다렸다가 봐야 

    제 모습을 볼 수 있는 그 Veil 성운 말이다


    그렇다고 꼭 Veil 성운이 나쁜 놈이라고만 볼 수는 없는 것이..

    Veil 덕분에 수많은 사람들이 망원경을 바꾸고 OⅢ필터를 구매하여

    내수 침체를 극복하고 소비 심리를 회복하는 데에 일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뭐가 좋은 놈인지 나쁜 놈인지 잘 모를 때는

    그냥 모두 다 봐 주면 되는거 아닐까?



    <내수경제 활성화> 상

    - 수상자 : NGC6992/6995/Pickering's triangle (Veil 성운)
    veil2.jpg


    귀하는 궁극의 뽐뿌질로 소구경 망원경을 사용하는 별쟁이들에게 

    지름신과의 영접을 주선하여

    대구경 돕소니언을 질러버리게 만듦으로써, 

    전세계적 경기침체 속에 일단 내수 증진에 기여한 바를 높이 사 이 상을 수여함  




    <밤하늘의 성자> 상

    - 수상자 : M57 (고리성운)
    M57_ori_100904.jpg


    귀하는 맑은날 흐린날 가리지 않고 시상이 좋건 나쁘건 가리지 않고

    입문자건 중급자건 가리지 않고 심지어 대구경 돕이던 소구경 굴절이건 가리지 않고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꾸준한 자태를 보여주어 

    삽질에 지친 안시 관측자에게 변함없는 즐거움을 선사하여 타의 모범이 되므로

    그 성자와 같은 속 깊은 마음가짐에 감사하며 이 상을 수여함










                               Nightwid 無雲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김민회 조회 수: 7624
  • 스케치
  • 월령 8.9일의 달 입니다. (검은지에 파스텔 2017년3월 8일) 과천에서 매수팔 때 박진우님은 달 아래 위에 파랗고, 붉은 색감이 보인다고 했습니다. 당시에 같이 있던 저는 동의하지 못했고, 님에게 재 라식 수술을 권했습지요 ㅎ. 하지만 귀가하고, 약~ 24시 경에 다시 ...
2017-03-13 23:15:19 / 2017-03-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104
  • 스케치
  • 87과 58을 그린 페이지 밑에 59와 60을 나누어 담으려 하니 아니 얘들이 한 시야에 보이네.. 사랑해요 에토스 ♡ 이미 그려놓은 4분할 바둑판의 아래쪽 세로선을 지우고 길게 구도를 잡아본다 60번은 4647과 함께 멋진 커플을 이룬다 '멋지다'는 것은 상당히 주관적인 개...
2017-03-04 05:52:00 / 2017-03-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16
  • 스케치
  • 안시로, 또는 사진으로 메시에 전 대상을 관측한 사람은 꽤 많다 하지만 M59가 어떻게 생겼는지 기억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스케치를 한 나조차도 메시에 마라톤 순서인 "T2 옆에 58-59-60" 밖에 기억이 나지 않아서 내 스케치를 다시 찾아보았다 작은 솜뭉치. ...
2017-02-28 04:18:48 / 2017-02-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512
  • 스케치
  • 밤하늘에는 여러 전설이 있어 그중 처녀자리에는 T 3형제의 전설이 대대로 내려오고 있지 꽃샘 추위가 기승을 부릴 2월말 무렵이면 성미 급한 별쟁이들은 강원도의 산속에서 밤새 추위에 덜덜 떨면서도 새벽까지 망원경을 놓지 못하는 거야 바로 메시에 완주의 마지막 ...
2017-03-04 07:55:14 진진아빠 / 2017-02-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586
  • 스케치
  • 하늘에 57 같은 아이가 또 있을까? 망원경이 크던작던 서울이던 시골이던 초보라도 고수라도 맑던 흐리던 천정인지 지평선인지 아무 관계 없이 57번 고리성운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온전히 모두 내어준다 (이 봉사는 11번이나 42번의 그것과는 또 다르다) 그리고 ...
2017-02-17 04:31:14 / 2017-02-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513
  • 스케치
  • 56번. 메시에 마라톤이 아니면 눈길 한번 줘본 적 없는 대상이다 (사실 메시에 대상의 70%는 같은 처지. 내가 메시에 스케치를 완주한 이유이기도 하다)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별쟁이들은 56번 바로 위의 57번 고리성운을 보고 나서 56을 쓱 지나쳐서 27번 아령성운으로...
2017-02-17 04:31:33 조강욱 / 2017-02-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872
  • 스케치
  • M55를 생각하면 항상 메시에마라톤이 떠오른다 그것도 2005년의 마라톤이 말이다. 100개를 채워야 완주의 의미가 있다고 믿던 시절, 초저녁에 어이없이 7개의 대상을 놓치고 밤새 마음 졸이며 질주하여 97개의 대상을 찾아 놓았다 남은 대상은 55번과 가을 하늘의 15번...
2017-02-17 04:32:19 조강욱 / 2017-02-1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418
  • 스케치
  • 구름을 좋아하는 별쟁이는 아마도 한 명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 불청객들이 달과는 의외로 잘 어울린다. 그것도 초승달 말고 보름달. 무엇이 달의 바다이고 무엇이 하늘의 구름일까? [ Too much Luna Mare, 스마트폰에 터치펜 - 조강욱 (2017) ] Nightwid 無雲
2017-02-12 04:38:10 조강욱 / 2017-02-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90
  • 스케치
  • 54번은 그저 평범한, 구상성단으로서는 적당한 크기의 적당한 밝기의 아이지만 나름 꽤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성단 내부의 별 배치와 헤일로가 반대 방향으로 보이는 것이다 구상성단의 분해되지 않는 외곽 부분의 성운기를 뭐라고 불러야 맞는 것인지는 나도 잘 모...
2017-02-11 04:21:39 / 2017-02-11
thumbnail
2017-02-11 23:00:23 김재곤 / 2017-02-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