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이중성 관측기 - 마차부자리
  • 조회 수: 2378, 2022-03-07 11:48:20(2022-02-15)
  • NSOG 마차부자리 이중성 관측기다.

    일시 : 2021년 12월 29일
    관측지 : 경상남도 창원시 용지동
    망원경 : SC235L
    고투 경위대 : iOptron AZ mount pro
    아이피스 : Nagler type 6 5mm (470배), Nagler type 6 7mm (336배), Nagler type 6 9mm (261배), Nagler type 6 13mm (181배), Nagler type 5 16mm (147배), Nagler type 4 22mm (107배), Swan 40mm (59배)

    Omega (ω)별 (이중성)
    5.00, 8.21등급, 4.7”, PA4도
    4.7초각 떨어진 반성이 유감스럽게도 59배에서 아직 느낌이 없다. 107배 바로 튀어나오고 147배 더 낫다. 둘 다 노란 느낌의 흰색이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FS60CB)
    적당한 거리와 밝기의 한쌍이다. FS60CB로 77배에서 깔끔하게 보여 준다. 반성이 약간 붉은 기운이 있다. NSOG에서는 Bluish라고 하는데....

    5번 별 (이중성)
    6.02, 9.50등급, 4.2”, PA283도
    앞의 오메가 별 보다 주, 반성이 한 등급씩 더 어두워졌지만 거리는 비슷하다. 그래서 인지 59배에서 이미 반성의 느낌이 있고 107배에서 꽤 어두운 반성이 여지 없이 나온다. 147배 주성은 노란색, 반성은 조금 옅은 느낌이 들어 노란 느낌의 흰색이라 봐야겠다. 4초각이나 차이가 있는데 https://www.stelledoppie.it/index2.php?iddoppia=17407에 궤도 데이터가 나와 있다. 약 1600년의 주기로 1.5초각에서 5.5초각 사이로 서로를 돈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C8, FS60CB)
    위 Omega별 보다 밝기가 한 등급씩 낮아서 인지 거리가 좀 더 가깝지만 C8 92배에서 잘 분해 해준다. FS60CB로는 반성이 어두워서 인지 확인 할 수 없다.
    5 aur.jpg

    Σ644 (삼중성)
    AB : 6.96, 6.78등급, 1.6”, PA221도
    AC : 6.96, 10.48등급, 72.4”, PA192도
    59배 AB의 별 상이 일정치가 않아 보이고 C는 잘 드러난다. 107배 노란색의 AB가 확연히 늘어나고 147배에서 어렵지 않고 Split된다. 181배부터는 동일 밝기의 AB가 쌍방울처럼 참 보기 좋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C8, FS60CB)
    1.6"으로 매우 가깝지만 C8 92배로도 뭔가 길쭉하게 늘어선 느낌이 있다. 156배로 바깥쪽 회절링까지 완벽하게 떨어지진 않지만 이 정도면 거의 분리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54배로 올려도 156배와 큰 차이가 없다. 관측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경통이 아직 덜 식어서 그런 거 같기도 하다. FS60CB로 177배에서 회절링을 공유한 두 덩어리 인데 오뚜기 보다 더 붙어 있다고 봐야 되나...

    14번 별 (사중성)
    AB : 5.03, 10.90등급, 9.8”, PA11도
    AC : 5.03, 7.33등급, 14.2”, PA225도
    AD : 5.03, 10.75등급, 179.7”, PA322도
    59배 가장 먼저 드러나는 AC의 조합은 꽤 인상적이다. 107배 A는 노란색, 반성은 흰색으로 색감 마저 조화롭다. 그리고 B가 어렴풋이 느껴진다. C가 책에는 Bluish라는데 147배에서 간혹 그런 느낌이 들 때가 있다. B는 직시로 나오기 시작한다. 저 멀리 D도 확인되지만 배경별 일 뿐이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C8, FS60CB)
    C8로 밝은 두 별이 잘 보이고 등급 정보가 없는 세 번째 별도 보이는데 등급은 약 11등급 정도로 어둡게 보이나 거리는 밝은 두 별 보다 가까운 10"정도 되는 거 같다. 인터넷을 뒤져보니 거의 맞게 본거 같다. FS60CB로는 밝은 두 별 만 관측 된다.

    Σ698(이중성)
    6.65, 8.33등급, 31.3”, PA348도
    59배 꽤 넓지만 59배에서 보자마자 색감차가 느껴지는 멋진 조합이다. 주성은 노랗고 반성은 푸른 느낌이 잘 드러난다. 반성의 Spectrum type은 F인데 보색 대비의 영향이 있어 보인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FS60CB)
    널찍한 한쌍이다. FS60CB로도 당근 잘 보여 준다.

    Hu 217 (이중성)
    7.17, 8.35등급, 0.7”, PA254도
    147배까지는 기대하면 안되고 181배에서 약간 퍼지는 느낌이 있다. 261배에서 약간 더 늘어나고 336배에서 확연히 늘어나 분해가 되었다. 470배 두 알갱이가 있고 별빛이 번진다. 눈사람 같은 모습이다. SC235L에 한계에 근접한 대상이라 이 정도 나왔다면 오늘 시상이 나쁘지 않다고 봐야 된다. 색은 하얗다.

    Σ719 (삼중성)
    AB : 7.50, 8.76등급, 1.4”, PA336도
    AC : 7.50, 9.39등급, 15.2”, PA353도
    59배 보자마자 또 색감차이가 바로 드러난다. AC에 대한 것이다. A는 짙은 노란색에 C는 흰색 또는 푸른 느낌이 있다. B는 아직이다. 107배 C의 푸른 느낌이 더 들고 AB의 별 상이 약간 퍼진다. 147배 여전히 B는 아직이다. 181배 뭔가 튀어나와 B가 비로소 분해가 되고 261배 약간 더 나오지만 split은 아직이다. 주성의 헤일로 영향인지 C보다 더 어두운 느낌이다. 336배 같은 수준이고470도 동일하다. 주성의 Spectrum type이 확실히 분해능에 영향을 끼친다. 그래도 AC의 색감만으로도 충분히 훌륭한 삼중성이다.

    Σ718 (삼중성)
    AB : 7.47, 7.54등급, 7.7”, PA73도
    AC : 7.47, 11.22등급, 117.1”, PA186도
    59배 거의 동일 밝기의 AB 조합은 상당히 인상적이다. C 마저도 잘 나온다. 107배 AB 아주 약간의 밝기차가 느껴지는 듯하다. AB는 둘 다 노란 느낌의 흰색이다.

    26번 별 (삼중성)
    AB : 5.46, 8.41등급, 12.0”, PA269도
    AC : 5.46, 11.50등급, 35.4”, PA113도
    59배 노란색 A별에 B는 흰색인데 푸른 느낌이 또 든다. 그리고 매우 어두운 C마저 바로 나온다. 107배 B의 푸른 느낌이 더 확연하다. 마차부자리에 계속 노란색, 푸른색 조합이 등장해 기분이 좋아진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C8, FS60CB)
    실제로는 삼중성인데, 6.0등급의 주성이 0.2"로 초 근접한 이중성이다. C8로 미친척하고 나글러 5mm끼우고 406배로 올려 보지만 택도 없다. 12.4"떨어진 반성은 두 망원경 다 모두 잘 보여 준다. 50"정도 떨어진 지점에 별을 하나 더 볼 수 있다.

    Σ764 (이중성)
    6.38, 7.08등급, 25.6”, PA14도
    59배 밝기차 크지 않고 밝으며 동일한 하얀색은 깔끔한 조합이다. 역시 기분이 좋다.

    Σ796 (삼중성)
    AB : 7.24, 8.23등급, 3.7”, PA62도
    AC : 7.24, 10.20등급, 209.6”, PA325도
    3.7초각의 AB는 59배에 이미 Split되고 주변 200여 초 범위에 별이 많아 C의 파악이 무의미해 진다. 107배 AB는 더 좋아지고 둘 다 흰색이다. 아이피스 시야에 별이 많아 보는 맛을 더한다.

    β1053 (이중성)
    6.91, 8.83등급, 1.9”, PA0도
    59배 아직 느낌 없고 50여 초 근처에 10등급대 별이 하나 있다. 107배 약간 늘어나고 146배 매우 어둡게 뭔가 나온다. 181배 약간 더 나오는 듯 하고 261배 주성에 붙어서 부어서 퍼진다. 336, 470배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 주성 Spectrum도 F type이라 분해능에 그리 손해를 보지 않고 1.9초각이면 쉽게 나올 줄 알았는데 조금 의외다. 반성이 8.83등급 보다 어두워 보인다는 점이 가장 의심스러운 포인트다. 본 이중성에 대한 궤도 데이터는 https://www.stelledoppie.it/index2.php?iddoppia=22155과 같고 0.2초각에서 2초각 사이를 688년 주기로 서로를 돈다. 2070년경에 2초각에 다다르고 그 이후로 좁아지기 시작한다.
    bu1053.jpg

    Σ811(이중성)
    7.97, 9.30등급, 5.2”, PA234도
    주, 반성 모두 그리 밝지 않은 조합이지만 59배 잘 Split되고 107배 둘 다 흰색이다.

    Theta (θ)별 (사중성) - NSOG에는 37번 뉴 별이라 되어 있으나 세타 별이 맞다.
    AB : 2.60, 7.20등급, 4.1”, PA303도
    AC : 2.60, 11.10등급, 55.2”, PA300도
    AD : 2.60, 10.10등급, 137.8”, PA349도
    59배 B는 아직이고 멀리 C, D는 잘 드러난다. 107배 C 방향으로 B가 약간 나온 느낌이 있다. 146배 그 위치에서 가까스로 매우 어둡게 뭔가 떨어져 나온다. 181배 비슷하고 261배부터 완벽히 떨어져 나온다. 주성이 굉장히 밝기에 7.2등급의 반성도 이 정도로 어둡게 느껴진다. EDP125에서는 좀 더 깔끔할 듯 하다. 주성은 노란 느낌의 흰색, B는 흰색 느낌이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FS60CB)
    주성 Theta별은 스펙트럼 구성상 실리콘 라인이 매우 강하여 "Silicon Star"로 불린다. 두 별이 서로의 궤도를 도는데 700~800년 정도 된다고 하며 점점 더 거리가 증가하고 있는 중이다. 약 80광년 떨어져 있다고 한다. C8 92배로도 분해되어 보이기 시작한다. 7.1등급의 반성이 고목나무의 매미와 같다. FS60CB로는....반성이 보이지 않는다....
    60mm의 한계 분해능으로는 보여줘야 되지만 주성이 워낙 밝아서 그런 거 같다. 바깥쪽 회절링에 어두운 부분이 있다. 아마 그 부분에 위치하지 않을까 싶다. NSOG 설명에는 회절링에서 얼핏 보인다고 하는데 아무리 째려봐도 이 정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시상이 좋은 날 다시 도전해 봐야겠다.

    41번 별 (이중성)
    6.16, 6.86등급, 7.5”, PA358도
    59배 적당한 밝기차, 각거리 깔끔한 조합이다. 107배 둘 다 흰색인 거 같기도 하고 다른 거 같기도 하고 뭔가 오묘하다. 책에는 Lilac이라고 표현했다. 보라색에 가깝다는 말이다. 이런 알쏭달쏭한 색감은 20인치로 보면 더 잘 드러난다. 여튼 괜찮은 조합이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FS60CB)
    적당한 거리의 비슷한 밝기의 이중성이다. 역시나 FS60CB로도 매우 좋다.

    Σ872 (이중성)
    6.89, 7.38등급, 11.3”, PA215도
    마차부자리에 이중성이 어느 것 하나 버릴 것 없이 좋다. 59배 역시 멋진 조합이고 107배 주성은 노란 느낌 흰색, 반성이 책에 또 Lilac이라는데 비슷해 보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고 그렇다. 147배 색감차가 있다는 게 확실한데 약간 옅은 흰색이라 해야 되는데 그레이 느낌이 가미된 거 같다. 이런 느낌을 Lilac이라고 표현한 거 같다. 역시 20인치로 확인해 보고 싶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FS60CB)
    위 41번 별 이중성 설명과 동일하다.

    Σ918 (삼중성)
    AB : 7.26, 8.19등급, 4.9”, PA336도
    AC : 7.26, 10.37등급, 145.4”, PA24도
    59배 AB는 역시 잘 Split되고 주변에 별이 많다. C도 잘 보이지만 멀어 배경별 일 뿐이다. 107배 AB둘 다 노란 느낌의 흰색이다.

    OΣ147 (사중성)
    AB : 6.77, 8.69등급, 42.7”, PA74도
    AC : 6.77, 9.85등급, 44.5”, PA119도
    CD : 10.60, 11.00등급, 0.5”, PA109도
    반성들의 각거리가 넓어 크게 기대하지 않았는데 PA가 이 조합을 살린다. 세 별이 정삼각형을 이루는 모습이 꽤 인상적이라 점 찍고 보고 싶다는 충동을 느낀다. 107배 A는 노란색 BC는 흰색 느낌이다. 초 근접한 CD의 분해는 시상 좋은 날 20인치에서 가능할 듯 하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FS60CB)
    OΣ라는 이중성 목록은 처음 본 듯하다. 사중성이라고 표기해 놓았는데 10.6등급의 별이 0.5초각떨어진 이중성이어서 그렇다. 도심에서 10.6등급의 별을 보기도 어려운데 쉽게 포기했다. 널찍이 떨어진 세별은 완벽한 정 삼각형은 아니지만 가까운 모습으로 놓여 있는데 거리는 멀지만 좋은 모양으로 놓여 있어 보기가 좋다. FS60CB로는 10등급의 별을 쉽게 보여준다. 3등성도 겨우 보이는 이 도심하늘에서 60mm로 10등급의 별도 보여 준다니 신기하다. 그런데 더 놀라운 건 10.6등의 별도 역시나 보인다는 것이다. 계속 보이는 건 아니고 보였다 안보였다 한다. 망원경이 대단한 건지 원래 보여주는 건지.. 근데 이상한 점이 있다. 앞에 5번 별의 반성이 9.7등급인데 관측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곰곰히 생각해 보니 거리가 3.7"로 가까워 비록 주성이 6등급이라 할 지라도 영향을 준 거 같다.
    stt147.png

    Σ928 (이중성)
    7.63, 8.61등급, 3.4”, PA131도
    마차부자리는 이중성의 보고 인가보다 계속 훌륭한 조합이 등장한다. 59배 앞의 OΣ147과 한 시야에 있다. 이미 Split되어 있고 107배 둘 다 하얗게 빛난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C8, FS60CB)
    관측 시 앞서 설명한, Σ929보다 먼저 보았는데 Σ929와 별 등급이 서로 비슷하고 거리는 더 좁은데 비교해 보니 아무리 다시 봐도 Σ929보다 두 별이 모두 어둡고 거리도 더 멀다. C8로는 이렇게 보였는데... 근데...FS60CB로는 8.2등급이라고 기재된 반성을 확인 할 수 조차도 없다... 정말 귀신이 곡할 노릇이다. 별을 잘 못 찾았나 싶어 다시 고투 돌려봐도 똑같은 별이 맞다. 거리가 Σ929보다 더 멀다면 6"이상인데 아무리 째려 봐도 반성이 확인이 안 된다. 앞에서 10.6등급 별도 봤는데.. 참 환장할 노릇이다. 일단 NSOG data가 틀렸다라는 건 확신 할 수 있다. 인터넷 자료를 뒤져봐도 정확한 데이터가 없다.

    Σ929 (이중성)
    7.35, 8.44등급, 6.5”, PA24도
    본 이중성을 빼먹고 관측하지 못했다. 아래 2017년 관측기로 대신한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FS60CB)
    NSOG순서상 아래 Σ928번이 먼저 이나 Σ928설명을 위해 순서를 바꿨다.
    역시나 보기 좋은 한 쌍으로 FS60CB로도 77배에서 깔끔하게 분해해 준다. 반성이 파란기운이 있다.

    일시 : 2021년 12월 31일
    관측지 : 경상북도 포항시 장기면 학곡리
    망원경 : SC235L
    고투 경위대 : iOptron AZ mount pro
    아이피스 : Nagler type 6 5mm (470배), Nagler type 6 7mm (336배), Nagler type 6 9mm (261배), Nagler type 6 13mm (181배), Nagler type 5 16mm (147배), Nagler type 4 22mm (107배), Swan 40mm (59배)

    Σ933(이중성)
    8.59, 9.04등급, 25.6”, PA76도
    비슷한 밝기의 어두운 조합이다. 59배 밝기가 조금 있고 둘 다 하얗게 빛난다.

    Frk 6 (삼중성)
    AB : 7.63, 9.78등급, 49.0”, PA281도
    AC : 7.63, 9.59등급, 64.5”, PA71도
    59배 반성들 넓지만 약간 구도가 있다. PA를 보면 짐작되겠지만 A를 중심으로 직선에서 약간 위치해 있다. A는 노란색이고 BC는 흰색이다.

    Σ941 (삼중성)
    AB : 7.25, 8.17등급, 2.0”, PA83도
    AC : 7.25, 10.48등급, 83.9”, PA135도
    59배 AB가 늘어섰다는 느낌이 벌써 들고 C는 잘 확인된다. PA40도 부근 100초 정도에 11등급대 별이 하나 더 있다. 107배 B가 쉽게 나오지만 Split은 아직이다. 147배도 조금 아쉽다. 181배부터 Split되기 시작한다. AB 모두 하얗고 C는 Bluish 느낌이 있다.

    54번 별 (이중성)
    6.21, 7.85등급, 0.8”, PA34도
    EDP125의 한계 분해능을 넘어선 대상이다. 바람이 많이 부는 오늘 시상도 별로라 크게 기대치 않았다. 181배까지 느낌 없고 261배 다행히 조금 늘어난다. 336배 약간 더 늘어나 반성이 확인되었다. 470배 별 상이 부어 올라 볼만하지 않다. 반성이 확인된 것으로 EDP125의 역할을 충분히 한 것이다. 색은 하얗다.

    OΣ154(이중성)
    7.06, 9.68등급, 23.6”, PA84도
    59배 오렌지색 주성에, 역시 오렌지색 반성인데 조금 더 보면 약간 더 짙어 보인다. 107배 어라! 반성이 푸른 기운이 돌기 시작한다. 다시 봐도 마찬가지다. 보색 관계가 나타나기 시작한 거 같다. 의외의 색감 대비를 보았다.

    Psi (ψ-5)별 (삼중성)
    AB : 5.31, 8.65등급, 29.4”, PA42도
    AC : 5.31, 11.70등급, 48.6”, PA336도
    59배 보자마자 AB의 색감차가 바로 드러나는데 A는 밝은 노란색 이고 B는 붉은색에 가까워 상당히 인상적이다. 근데 책에 B가 Bluish도 아니고 Blue라고 표기되어 있다. 107배로 가본다. B는 여전히 푸른색을 느낄 수 없다. C는 겨우 드러난다. Blue가 아니라도 상관없다. 노란색, 붉은색 조합도 충분히 아름답다. 마지막 대상을 멋지게 마무리 했다.

    2017년 12월 1일 관측기 (C8, FS60CB)
    그냥 밝게 잘 보이는 한 쌍이다.

    마차부자리 이중성이 전반적으로 볼만한데 탑픽이 바로 떠오르지 않는다. 그래도 뽑자면 Psi-5 별을 선정하고 싶다. 추천 이중성은 모든 이중성을 다 추천하고 싶다. 그 만큼 마차부자리 이중성들이 화려하다.

댓글 2

  • 조강욱

    2022.03.04 12:33

    OΣ134였나.. M35 안에 있던 이중성이 생각나네요 ^^
    Silicon Star는 무슨 색감일까요?
  • 최윤호

    2022.03.07 11:48

    위 관측한 Theta 별의 Skysafari상 Spectrum type은 A0VpSi이렇습니다. 설명을 보면 Silicon은 태양 대비 10배가 많다고 합니다. A0는 color type Vp는 이 별이 변광성임을 나타내고 있고 Si는 Silicon star임을 나타 냅니다. 설명을 추가 번역하면


    "천천히 회전하는 주계열성들은 조용한 대기를 가지고 있는데, 이 대기는 어떤 화학 원소들은 중력의 힘으로 가라앉는 반면, 다른 것들은 복사압의 결과로 위로 밀려난다."


    이렇게 써있네요. 핵융합반응의 최종 결과물은 가장 안정적인 철인데 내부에 핵융합반응 중간단계로 생성된 실리콘이 이 복사압이란 것 때문에 표면으로 드러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실리콘이 태양 대비 10배 많아도 전체 원소량 대비 적을 것이라 색타입에는 영향을 적게 미칠 거 같습니다. 그리고 실리콘의 불꽃반응 색정보를 도저히 찾을 수가 없는데 A0 type으로 보아 Silicon도 백색에 가깝지 않나 생각됩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1519 박상구 169 2024-01-21
1518 최윤호 171 2023-02-20
1517 조강욱 171 2023-10-09
1516 조강욱 182 2023-09-03
1515 조강욱 186 2023-02-06
1514 최윤호 189 2023-01-29
1513 조강욱 204 2023-04-04
1512 최윤호 207 2021-12-01
1511 조강욱 216 2023-10-19
1510 조강욱 220 2023-09-06
1509 정화경 220 2024-01-18
1508 최윤호 233 2022-03-03
1507 최윤호 235 2022-04-06
1506 조강욱 236 2023-03-11
1505 정화경 240 2023-07-03
1504 최윤호 241 2021-12-18
1503 최윤호 241 2022-03-31
1502 최윤호 241 2023-01-31
1501 조강욱 242 2023-11-08
1500 조강욱 243 2023-04-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