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성운꽃 세송이 - LMC 산책 #4
  • 조회 수: 1871, 2020-02-25 22:11:30(2020-02-23)

  • 2019년 뉴질랜드 스타파티에서 여러 별쟁이들과 LMC를 같이 보았다

    내 태블릿으로 LMC 사진을 열어놓고 한군데씩 단체관광을..

    관광을 마치고, 타란튤라에서 남쪽으로. .아이피스 한 시야 만큼 이동하면

    Tarantula만큼 밝고 화려하진 않지만, Tarantula만큼 멋지고 특이한 성운들이 모여 있다


    2074.jpg

    ( 출처 : https://stargazerslounge.com/topic/288774-tarantula-nebula-ngc-2070-in-the-large-magellanic-cloud-lmc/ )


    물론 사진처럼은 안보이지만, 16인치에서 볼만한 디테일은 수도 없이 많다

    모두가 잠든 새벽 2시부터 박명으로 날이 밝아올 때까지 성운 세 개와, 그를 둘러싼 별들을 그렸다


    [ Southbound of Tarantula,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Gel펜, Hawke’s Bay에서 16”로 조강욱 (2019) ]

    Southbound of 2070_2000px_190106.jpg


    깨알 같은 별밭 위에 제각기 다른 모양의 성운들이 아무렇게나 흩어져있다

    하나씩 쪼개보자


    [ NGC 2079 Complex ]

    먼저 좌상단의 2078 - 2084 영역, 4개의 NGC 성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장 밝은 NGC 2079의 이름을 따서 NGC 2079 Complex라고 불린다

    NGC2079&Desc.JPG


    나는 약간 찌그러진 하트 모양으로 관측을 했는데

    사진 상으로는, 그리고 NSOG의 설명에도 S자 모양으로 언급이 되어 있다

    NGC2079 photos.JPG


    꽤 흥미로운 영역임에도 전천 사진성도 Database 외에는 

    제대로 클로즈업 해서 찍은 사진 한 장 찾을 수가 없다

    북반구에 비해 남반구의 인구가 현저히 적은 것이 근본적인 원인일 것이다


    나는 하트가 보여서 의심 없이 하트를 그렸는데.. 

    아마 S를 생각하고 다시 보면 S가 보이지 않을까?

    NGC2079 Heart S.JPG



    [ NGC 2080 / 2077 ]

    NGC2080_2077.JPG


    내 스케치와 대조해 볼만한 사진 찾기는 2079 Complex보다 오히려 더 어렵다

    그나마 SkyView 데이터가 가장 쓸만하다

    NGC2080_comparision.JPG


    2080 2077 위쪽으로는 더 작은 성운인 2085와 2086이 위치하는데

    나는 형체를 분간할 수 없는 넓은 성운기로만 볼 수 있었다


    근데 내 관측에서는 2080이 거의 두 덩어리로 분리된 것처럼 보이는데

    SkyView 사진 상으로는 판독이 애매하다


    평소에는 잘 보지 않는 허블 이미지를 찾아보니 

    NGC2080_wiki.jpg

    (출처: Wikipedia)


    성운 영역 중앙의 좌우로 성운기가 진한 부분이 보인다

    NGC2080_hubble.JPG


    허블 수준(?)의 구조를 보았다고 생각하니 그냥 갑자기 기분이 좋아진다




    [ NGC 2074 ]

    NGC2074.JPG


    스케치 좌하단의 NGC 2074는 원본 스케치에는 NGC 2078-2084로 표기되어 있다

    NGC 2078-2084는 NGC 2074로 바뀌어 있고..

    (스케치 상단에 NGC 번호들을 적어 놓았다)


    스케치를 완성하면서 잘못된 자료를 참조해서 Annotation을 한 결과이다

    안 그래도 관측기록이나 사진이 거의 없는 대상들인데

    나부터라도 데이터 하나 하나 주의해서 공유해야 할 것 같다


    여기는 Tarantula 바로 아래의 화려한 영역에 위치해 있어서 상대적으로 사진 찾기는 수월하다

    그래봤자 안시관측자의 입장에서 현실성은 별로 없는 사진들이지만…

    2074를 검색했더니 대부분은 형체를 알 수 없는(!) 허블 사진과

    하트 모양의 붉은색 성운만 잔뜩 나온다


    NGC2074_p.jpg

    (출처 : https://www.irida-observatory.org)


    이거 하나도 안 비슷한데.. 하고 이리저리 모양을 맞추어 보니

    하트 성운은 NGC 2081이고, 내가 관측한 영역은 그 아래 좀 더 찐한 C자 모양 뿐이다

    하트는 당시에 관측이 불가능했던 것 같다


    NGC2074_comparision.JPG




    스케치 한 장에 성운 영역을 3개씩이나..

    꽤 많이 본 것 같은데 

    Tarantula 주위를 표현한 잘 찍은 사진을 보니

    독거미 밑에 밝은 점 세 개를 겨우 본 것일 뿐.


    near 2080.jpg

    (출처 : https://www.irida-observatory.org/Namibia-Tivoli/LMCmosaic_NGC2070/LMC_mosaic.htm)


    LMC 전체 영역에서 보면 더욱 한숨이 나온다

    (빨간색 네모는 관측/스케치 완료한 영역, 노란색 네모는 이번에 관측한 영역)

    LMC region #4.JPG



    오락가락 하는 정신줄을 겨우 붙잡고 2시간여만에 스케치를 마무리하니 날이 밝았다

    아니 사실은 아직도 보이는 것이 많은데

    날이 밝아서 어쩔수 없는 척 (기쁜 마음으로) 스케치를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스케치로 LMC 한바퀴를 다 돈다 해도 

    LMC를 진정으로 이해하긴 어렵지 않을까 괜한 걱정이 든다



    Southbound of 2070_2000px_190106.jpg





                              Nightiwid 無雲


댓글 4

  • 이한솔

    2020.02.24 07:45

    마젤란 스케치와 사진을 보니 호주에서의 감동들이 다시한번 밀려오네요...
    그런데 관측시 필터는 사용해 보셨는지요? 마젤란이 불규칙 은하라 대부분 emission nebula 일텐데 아이피스를 30~20mm 정도로 하고 uhc필터를 이용하면 또 다른 모습으로 보일 것 같은데 궁금하군요.

  • 조강욱

    2020.02.24 11:58

    LMC를 볼때 타란튤라를 제외하고는 거의 필터를 써보지 않은것 같아요

    20mm 아이피스도 거의 쓰지 않고 있는데 다음주에 한번 해봐야겠네요 ^^*

  • 최윤호

    2020.02.24 17:22

    우리은하도 아닌 위성은하에서 우리 은하의 성운 보다 더 잘보이는 대상이 더 많다니 정말 대단한 은하 같아요. 우리은하의 중력에 의한 조석 영향이려나요. ^^;; 다음에 호주가면 저도 마젤란을 먼저 패줘야 맘이 좀 후련할 듯 싶네요. ㅎ

  • 조강욱

    2020.02.25 22:11

    대마젤란은 정말 전 하늘 원탑이 확실합니다 ㅎㅎ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1479 최윤호 308 2021-06-28
1478 조강욱 316 2021-11-25
1477 조강욱 317 2021-05-22
1476 최윤호 328 2021-04-12
1475 홍대기 328 2023-01-29
1474 김원준 343 2023-01-31
1473 정화경 349 2023-04-30
1472 이한솔 350 2022-12-01
1471 조강욱 351 2023-04-10
1470 김재곤 359 2023-02-04
1469 최윤호 360 2021-04-26
1468 최윤호 365 2021-05-04
1467 원종묵 368 2024-01-31
1466 최윤호 374 2021-08-31
1465 최윤호 379 2021-02-19
1464 최윤호 382 2021-04-14
1463 최윤호 391 2021-01-01
1462 최윤호 393 2021-05-08
1461 박진우 396 2021-12-09
1460 조강욱 408 2021-12-0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