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이중성 관측기 - 양자리
  • 조회 수: 3465, 2019-10-22 20:59:56(2019-10-15)
  • NSOG 양자리 이중성 관측기 입니다. 총 28개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일시 : 2019년 10월 11일

    관측지 : 서울시 대림동

    망원경 : SC235L

    고투 경위대 : iOptron AZ mount pro

    아이피스 : Nagler type 6 5mm(470배), XW 7mm(336배), Nagler type 6 9mm(261배), Nagler type 6 13mm(181배), Nagler type 4 22mm (107배), Swan 40mm (59배)


    β307 (이중성, 7.11, 11.60등급, 16", PA317도)

    59배에서 어두운 반성이 나름 보인다 싶었는데 107배에서도 굉장히 어렵다. 비껴보기로 보였다 말았다 한다. 주성은 하얗다.


    Pi (π)별 (육중성)

    AB : 5.32, 7.95등급, 3.2", PA119도)

    AC : 5.32, 10.72등급, 24.1", PA112도)

    AD : 5.32, 10.49등급, 220.2", PA134도)

    육중성 시스템인데 E, F별은 14, 15등급 대라 기재하지 않았다. 59배 멀리 떨어진 D별, 가까운 C별이 잘 보인다. B별은 분해되지 않고 길게 늘어난다. 107배에서 밝은 A별에서 미약하게 B별이 떨어져 나온다. 181배가 가장 보기 좋고 A별은 하얗게 잘 보이고 B별도 하얀 느낌이다. 이 네 별이 어우러지는 모습을 스케치로 남겨 보았다.

    pi sketch.jpg


    OΣ46, h656 (삼중성)

    AB (OΣ46) : 6.78, 10.79등급, 4.9", PA75도

    BC (h656) : 6.78, 12.70등급, 13.8", PA185도

    B별이 어두운데 나름 근접해서 인지 59, 107배에서 전혀 분해에 대한 감이 없다. 181배에서 매우 어둡게 겨우 보여 준다. 주성은 노란 느낌의 흰색이다.


    41번 별 (칠중성)

    AB : 3.63, 11.04등급, 34.0", PA292도

    AC (H V 116) : 3.63, 10.66등급, 28.5", PA233도

    AD (H VI 5) : 3.63, 8.80등급, 122.5", PA237도

    BC : 11.04, 10.66등급, 30.5", PA164도

    칠중성 시스템인데 나머지 세 별이 각각 12.5, 15.7, 17.2등급이라 기재하지 않았다. 반성들이 그리 밝진 않지만 참 보기 좋다. 107배에서 보이는 모습을 스케치해 보았다. A별은 하얗다.

    41 ari.jpg


    Σ366 (삼중성)

    AB (Σ366) : 6.88, 10.43등급, 42.2", PA34도 

    BC (β530) : 10.43, 11.10등급, 1.9", PA193도

    59배에서 오렌지색 A별과 BC별이 잘 드러난다. 관건은 매우 어두운 근접 이중성인 BC별을 도심에서 분해하는 것인데 상당한 도전이 예상되었다. 261배에서 희미하게 퍼지 듯 늘어나는 느낌이 나고 336배에서 어둡게 더 퍼지고 분해 되는 느낌을 충분히 받을 수 있었다. 이렇게 어둡고 근접한 이중성을 분해해 본건 처음인 거 같다.


    일시 : 2019년 10월 12일

    관측지 : 서울시 대림동

    망원경 : EDP125

    고투 경위대 : iOptron AZ mount pro

    아이피스 : Hr 2.4mm(406배), Delos 3.5mm(279배), Nagler type 6 5mm(195배), Nagler type 6 9mm(108배), Nagler type 6 13mm(75배)


    1번 별 (이중성, 6.33, 7.21등급, 2.9", PA165도)

    75배에서 쪼개지고 108배에서 노란색 주성과 푸른 반성의 색감 차이는 확연하다. 195배가 가장 가장 보기 좋고 정말 색감 차이 하나만 놓고 봐도 환상적인 이중성이다.


    2018년 10월 2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2.8초각이지만 98배에서도 똑 떨어진다. 노란색 주성과 푸른 기운이 도는 반성이 아름답게 보인다.


    Σ178 (이중성, 8.22, 8.20등급, 3", PA206도)

    주 반성이 그리 밝지는 않지만 거의 동일 밝기에 적당히 근접한 거리로 볼만한 이중서이다. 75배에서 이미 쪼개지고 139배가 가장 보기 좋다. 둘 다 노란색 느낌이 나는데 Spectrum type은 F로 흰색으로 보여야 정상이다. 아마 어두워서 색 파악이 제대로 되지 못한 거 같다.


    Gamma(γ) 별 (삼중성)

    AB : 4.52, 4.58등급, 7.4", PA2도

    AC : 4.52, 8.63등급, 216.8", PA216.8도

    영롱한 양자리 Gamma별을 다시 보게 되니 기분이 너무 좋다. 75배 주, 반성 밝고 동일한 밝기, 동일한 흰색이다. C별도 흰색 느낌이 난다. 스케치를 불러 온다.


    2018년 10월 2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이 별은 예전부터 알고 있던 유명한 이중성이다. 밝은 두별이 똑같은 밝기의 색상을 가졌다. 이것도 정말 멋진 대상이다. 물고기 자리의 65번 그리고 프시(ψ)별도 거의 동일한 밝기의 이중성이었다. 이것은 이 7.8초각으로 각거리는 중간쯤이다. 정말 이 세 별은 꼭 보라고 권하고 싶다.

    gamma sketch.jpg


    Lambda(λ)별 (사중성)

    AB : 4.80, 6.65등급, 37.2", PA48도

    AC : 4.80, 9.70등급, 188.7", PA76도

    AD : 4.86, 9.88등급, 270", PA85도

    B별은 75배도 다소 넓다. 노란 느낌의 흰색인 A별과 B별은 더 짙은데 오렌지에 가 가깝다. 아래 예전 뮤론 180C로 관측한 내용은 흰색 주성과, 푸른색 반성으로 봤는데 EDP125에서는 그렇지 않다. 실제 Spectrum은 A별은 F, B별은 F8/G0로 B별은 노란색에 가깝게 보이는 게 맞는 거 같다. C별도 잘 보이는데 거의 동일 밝기에 더 멀리 떨어진 D별은 이상하게도 확인이 안 된다.


    2018년 10월 2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각거리가 넓고 평범하다. 흰색 주성과 약간 푸른빛의 반성이 맞다.


    10번 별 (이중성, 5.82, 7.87등급, 1.55", PA348.5도)

    75배 느낌없고 108배 약간 늘어난다. 139배 눈사람이고 196배에서 슬며시 떨어져 나온다. 279배에서 깔끔하게 나오고 406배도 좋지만 279배가 가장 보기 좋다. 책에 주성 흰색, 반성을 light blue라 했는데 주성은 흰색으로 보았고 반성과 약간의 색감 차이가 있어 그렇게 봐 줄 수도 있겠다. https://www.stelledoppie.it/index2.php?iddoppia=7637상 궤도 데이터는 아래와 같고 325년 주기로 0.6초각에서 2.2초각을 왔다갔다 한다. 앞으로 점점 각거리가 넓어지고 있다.

    10 ari.jpg


    Σ221 (이중성, 8.13, 9.45등급, 8.5", PA145도)

    75배 잘 분해되고 108배에서 주성은 노란색 반성은 어둡지만 약간 푸른 느낌이 있다.


    Σ224 (이중성, 8.13, 9.45등급, 8.5", PA145도)

    75배 깜찍하게 분해되고 108배에서 둘 다 어둡지만 노란 느낌이 난다.


    Σ240 (이중성, 8.32, 8.60등급, 4.8", PA52도)

    앞선 Σ221, Σ224와 밝기 각거리 모두 유사하다 볼 수 있겠다. 조금 어둡지만 역시 75배에서 깜찍하게 분해되고 거의 동일 밝기라 어느 별이 주성인지 모르겠지만 둘 다 노란 느낌이고 보기 좋다.


    Σ271 (이중성, 5.93, 9.94등급, 12.8", PA183도)

    반성이 밝은 주성 대비 많이 어둡지만 각거리가 약간 있어서 인지 75배에서 쉽게 드러난다. 거의 10등성에 육박한 반성이 보름달이 떠 있음에도 잘보이는 걸로 봐 오늘 투명도가 좋은 날이다. 주성은 노란 느낌의 흰색이다.


    30번 별 (삼중성)

    AB : 6.50, 7.02등급, 37.7", PA275도

    BC : 7.02, 11.00등급, 0.6", PA283도

    넓지만 A, B 별 둘 다 밝아 75배에서 보기좋은 한 쌍이다. 둘 다 책에 노란색으로 표기했는데 주성은 맞으며 반성이 아주 약간 더 짙은 느낌이 든다. 아래는 작년 뮤론으로 관측한 것인데 비슷하게 보았다. B별에 매우 근접한 어두운 11등성은 관측 불가하다.


    2018년 10월 2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역시나 넓은 한 쌍이다. 두 별 다 노란색이라고 하는데 주성은 노란색이 맞으며 반성은 나는 오렌지색에 가깝게 보았다.


    Σ287 (이중성, 7.36, 9.61등급, 6.8", PA74도)

    반성 어둡지만 75배에서 무리없이 잘 보여준다. 108배에서 주성은 오랜지색, 반성은 어둡지만 흰색 느낌이다.


    33번 별 (이중성, 5.30, 9.56등급, 28.4", PA0도)

    주, 반성 간 밝기차가 크고 각거리도 멀다. 75배 흰색 주성에 반성도 흰색 느낌이다. 책에는 반성이 Blue라고 표현했는데 어두워서 잘 모르겠다.


    2018년 10월 2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밝은 흰색 주성과 상대적으로 어두운 반성의 색 구분은 힘들다. 주위에 보름달이 가까이 있어서 그런가 보다.


    Σ291 (삼중성)

    AB : 7.66, 7.50등급, 3.4", PA118도)

    AC : 7.66, 9.53등급, 65.5", PA242도)

    BC : 7.50, 9.53등급, 66.9", PA243도)

    어여쁜 삼중성이다. 스케치를 안 할 수 없게 만든다. 75배 A, B별은 흰색이고 거의 동일 밝기에108배가 가장 보기 좋고 C별과 어우러진다. 스케치하면서 한참을 더 관측했다. 데이터상 A별이 더 어두운데 발견 당시 이후 밝기가 변한 게 아닌가 추측해 본다.

    stf291 sketch.jpg


    Σ300 (이중성, 7.89, 8.08등급, 3.2", PA316도)

    앞의 Σ291과 비슷한데 역시 75배에서 깜찍하게 분해된다. 108배가 보기 더 좋고 둘 다 흰색 느낌이다.


    Σ305 (이중성, 7.52, 8.25등급, 3.6", PA307도)

    앞선 Σ291, 300과 비슷한 이중성이 계속된다. 각거리 마저 도 3초각대로 비슷하다. 역시나 75배에서 깔끔하게 쪼개지고 주성은 노란색 반성은 약간 더 약한데 노란 느낌의 흰색이라 해야겠다. 본 이중성의 궤도 데이터는 https://www.stelledoppie.it/index2.php?iddoppia=9960와 같고 531년 주기로 0.5초각에서 3.6초각 대로 벌어진다.stf305.jpg


    Σ326 (이중성, 7.68, 10.02등급, 5.5", PA221도)

    반성 어두워서 인지 5.5초각이지만 75배에서 정말 어렵게 뭔가 나오는 듯 마는 듯 하고 108배에서 확실하게 떨어져 나오지만 5.5초각 보다 가깝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Skysafari data를 보니 4.8초각인데 여전이 더 좁아 보인다. 주성은 오렌지에 가깝다.


    2018년 10월 2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주성도 밝지 않은데 반성은 더 어두워 주성의 노란색만 확인 될 뿐이고 Dull red라는 반성의 색을 인지하기는 어렵다.


    Epsilon(ε) (이중성, 5.17, 5.57등급, 1.3", PA210)

    75배 분해 느낌 없고 108배 별 상이 늘어나고 139배 눈사람 모양처럼 보인다. 196배에서 얼추 떨어졌다 봐야 되고 붙었다 떨어졌다 한다. 279배에서 Split되고 406배에서도 깔끔하다. 279배보다 더 높은 406배가 이상하게 더 보기 좋다. HR2.4mm 아이피스가 갑자기 더 맘에 든다. 둘 다 흰색이고 0.4등급 차이에 따른 밝기 차이는 확연하다. 멋진 이중성이다. 이 이중성을 여러 번 봤는데 아래 뮤론 180C와 EDP60미리로 관측한 내용도 참조 바란다. 본 이중성의 궤도 데이터는 https://www.stelledoppie.it/index2.php?iddoppia=10584와 같고 1215년 주기로 서로를 돌고 현재 각거리가 조금 씩 좁아 지고 있지만 우리 생애에는 보는데 지장이 없겠다.


    2018년 10월 2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우와 이 대상도 강추 대상이다. 그리고 1.5초각의 근접 쌍성이라 60미리 굴절의 분해능 테스트 대상이라 볼 수 있겠다. 98배에서는 전혀 분해해 볼 수 없어 바로 270배로 올리니 최외각 회절링은 공유했지만 바로 똑 떨어져 보인다. 색은 둘 다 흰색에 가까우며 0.3등급의 밝기차 이지만 별상의 크기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말 멋들어진 대상으로 꼭 관측해보라고 추천하고 싶다.


    2018년 11월 19일 관측 기록 (EDP60)

    이전 물고기자리, 양자리의 이중성 관측때는 1초각 대의 물고기 자리 알파 별 양자리의 엡실론 별을 EDP60에서 보유한 아이피스 및 powermate의 조합으로 최대 180배(Nagler 5mm w/2.5x powermate) 밖에 낼 수 없어 제대로 분해해 보지 못해 너무 아쉬웠다. 그때 장터에서 아직 팔리지 않고 있던 XWA3.5mm 아이피가 떠올라 충동적으로 바로 질렀다. 2.5x powermate와 조합하면 257배까지 올려 볼 수 있다. 60미리 굴절의 한계 분해능은 이론적으로 1.93초 이지만 이전 FS60CB로도 1초각 후반대의 별을 분해해본 적이 있어 EDP60의 한계 분해능도 시험해 보고 싶었다. 드디어 날이 좋아 이 두 대상으로 새로 영입한 EDP60의 한계 분해능을 테스트 해 볼 수 있게 되었다. 먼저 물고기 자리 알파별로 간다. 1.8초각이다.(주성 4.2 반성 5.1등급) 이전 관측때 180배에서 분해되지 못하고 오뚜기 같은 모습으로만 관측했다. 바로 257배로 간다. 드디어 분해가 된다. 최외각 회절링는 공유하고 있지만 중심은 공유되지 않고 떨어진다.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EDP60도 역시 좋은 경통임이 판명되었다. 자신감으로 가지고 양자리 엡실론 별로 간다. 이건 조금 더 좁은 1.5초각이다. (주성 5.2 반성 5.5등급) 이건 앞의 물고기자리 알파별 보다 좀 더 좁지만 주성, 반성 모두 어두워 별 상이 작아 질 것이기 때문에 분해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바로 257배로 간다. 분해가 되지 않는다....... 조랭이떡도 아니고 그냥 별이 약간 길죽하게 늘어선 모습으로 보일 뿐이다. 아쉽다. 300배 이상으로 더 올리면 보일려나 그러나 냉정하게 분해되지 않을거라 생각한다. 이미 한계 분해능을 벗어났다. 내 EDP60은 1.7~8초각이 한계 분해능인거 같다. 그래도 만족한다.

    Eqsilon ari.jpg


    Σ375 (이중성, 7.62, 9.90등급, 2.7", PA316도)

    75배 뭔가 나오는 듯 한데 확실하지 않고 108배에서 어둡지만 반성이 떨어져 나온다. 배율이 더 올라 갈수록 좋고 195배가 가장 낫다. 주성은 흰색이고 반성은 확인 안 된다.


    Σ394 (이중성, 7.05, 8.16등급, 6.9", PA164도)

    75배 깔끔하게 분해되고 약간의 색감 차이가 바로 느껴진다. 108배가 더 좋고 책에 주성은 노란색 반성은 light blue라는데 정말 그렇게 보인다. 몇 분을 더 감상해주고 양자리 이중성 관측을 마무리 해 본다.


    양자리 Best 이중성은 Gamma별이고 추천 이중성은 Pi별, 1번, 10번, 30번, 41번 별, Epsilon 별, Σ291, Σ300, Σ305를 꼽고 싶다.

댓글 2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1439 최윤호 627 2020-12-21
1438 최윤호 646 2020-07-24
1437 조강욱 671 2021-01-10
1436 조강욱 682 2021-01-02
1435 조강욱 691 2021-12-05
1434 이한솔 725 2022-06-07
1433 조강욱 744 2022-07-11
1432 이한솔 760 2020-12-14
1431 최윤호 794 2020-09-16
1430 최윤호 798 2020-10-23
1429 조강욱 802 2020-12-29
1428 최윤호 819 2022-01-20
1427 최윤호 841 2020-03-19
1426 최윤호 841 2020-10-20
1425 최윤호 846 2020-11-21
1424 최윤호 860 2021-09-28
1423 최윤호 899 2020-08-24
1422 조강욱 901 2022-04-16
1421 최윤호 914 2022-09-25
1420 최윤호 916 2020-04-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