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이중성 관측기 - 조랑말자리
  • 조회 수: 5275, 2019-10-14 20:11:27(2019-10-07)
  • 조랑말 자리는 전 하늘에서 두 번째로 작은 별자리인 만큼 NSOG에 소개된 이중성 개수도 8개 밖에 되지 않는다.

    일시 : 2019년 9월 18일
    관측지 : 서울시 대림동
    망원경 : EDP125
    고투 경위대 : iOptron AZ mount pro
    아이피스 : Hr 2.4mm(406배), XWA 3.5mm(279배), Nagler type 6 5mm(195배), Nagler type 6 9mm(108배), Nagler type 6 13mm(75배)

    Epsilon(ε)별 (사중성)
    AB : 5.96, 6.31등급, 0.13", PA280도
    AB x C : 5.30, 7.05등급, 10.5", PA67도
    캬! 아이피스 시야를 보자마자 훌륭한 색감대비에 탄성이 절로 나온다. 75배 노란색 AB 별과 푸른색C별의 대비가 환상적이다. 아래 관측기는 작년 이맘때 뮤론180C로 관측한 내용인데 AB별의 푸른색을 잘 느끼지 못했었다. 사중성인데 AB별은 현재 0.13초각이고 아래 https://www.stelledoppie.it/index2.php?iddoppia=92304의 궤도 data와 같이 104년의 주기를 가진다. 따라서 아래 작년 관측 내용과 같이 20여년전 책 출간 당시에는 0.8초각대를 보여 분해가 가능했을 지 모르지만 지금은 불가하다. 앞으로 20~30년 지나야 0.5초각 정도 벌어 질 거 같다. D별은 13등급이 넘어가 관측 불가하다.

    2018년 10월 1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삼중성인데 0.8초각의 AB 별은 7인치의 한계 분해능 내에 있지만 270배에도 구분해 볼 수 없다. 책의 설명과 같이 최소한 길쭉한 모습으로라도 보여야 되는데 이것 조차 확인이 안 된다. AB의 근일점이 2021년인데 책이 나온 시점이 1990년 대라 그때는 길쭉한 모습이 보였을지 모르지만 지금은 그렇게 보이지 않는 것이 맞는 거 같다. 둘 별은 104년 주기로 돈다고 한다. 10.7초각 떨어진 C별은 98배에서 충분히 잘 보이나 푸른색을 느끼기는 어렵다.
    epsilon equ.jpg

    Lambda(λ)별 (이중성)
    7.41, 7.64등급, 2.9", PA215도
    2.9초각이 75배에서 깔끔하게 똑 떨어진다. 거의 동일 밝기로 139배가 가장 보기 좋고 둘 다 노란 느낌의 흰색이다. 아래 작년 관측기에서 뮤론으로는 98배에서 깔끔하지 못했다고 했는데 아마 시상이 별로였나 보다.

    2018년 10월 1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2.8초각 거리가 98배에서는 깔끔하진 않지만 구분이 된다. 173배로 올리면 똑 떨어져 참 보기가 좋다. 색상은 둘 다 약한 노란색이 맞다.

    Σ2765 (삼중성)
    AB : 8.47, 8.50등급, 2.8"
    앞의 Lambda별과 각거리는 거의 같은데 주, 반성의 밝기가 1등급씩 떨어진다. 그래서인지 75배에서 그리 깔끔하진 않지만 그래도 떨어진다. 139배 역시 동일 밝기이고 어둡지만 둘 다 흰색 느낌이다. 참고로 Skysafari에는 Blue로 되어 있다. 70~80여초 떨어져 10등급쯤 되는 별이 PA270도 부근에 하나 더 있다. C별은 14등급대라 관측 불가하다.

    2018년 10월 1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앞의 Lambda별 과 비슷한 각거리 이지만 약간 더 큰 밝기 차 때문인지 구분은 더 쉽다. 색상은 하얀색 느낌이 난다.

    Σ2786 (이중성)
    7.49, 8.20등급, 2.8", PA189도
    앞서 관측한 Lambda별, Σ2765와 각거리는 거의 동일하고 주, 반성은 반씩 섞어 놨다. 역시 75배에서 깔끔하게 똑 떨어지고 그리고 139배에서 가장 보기 좋다. 둘 다 흰색이다.

    β164, Σ2793 (삼중성)
    AB (β164) : 8.17, 8.30등급, 0.1", PA92도
    AB x C (Σ2793) : 7.44, 8.98등급, 26.4", PA241도
    삼중성이지만 β164으로 이름 붙은 AB는 0.1초각의 초 근접 이중성이고 내 생애에는 0.4초각 이상 벌어지지 않는다. Σ2793은 75배도 넓은 편이지만 딱 보자마자 색감 차이가 난다. AB별는 흰색, C별은 푸른 느낌이 있는데 책에 bluish라 되어 있어 제대로 보았다. 아래 작년 관측기 상 C별이 노란 느낌이라 표현했는데 날씨가 별로였는지 아니면 광학계 차이인지도 모르겠다.

    2018년 10월 16일 관측 기록 (뮤론 180C)
    실제로는 삼중성인데 주성이 0.4초각 떨어진 이중성이라 감히 시도조차 해 보지 못했다. (7인치의 한계 분해능을 넘어 서기에) C별은 26.6" 각으로 넓어 98배 보다 54배에서 더 보기가 좋다. C별이 Bluish라고 하지만 나는 노란 느낌이 난다.

    일시 : 2019년 9월 24일
    관측지 : 홍천
    망원경 : SC235L
    경위대 : Noh's mount w/photoclam tripod
    아이피스 : Nagler type 6 5mm(470배), XW 7mm(336배), Nagler type 6 9mm(261배), Nagler type 6 13mm(181배), Nagler type 4 22mm (107배), Swan 40mm (59배)

    β70 (삼중성)
    AB : 8.56, 11.41등급, 81.7", PA240도
    AC : 8.56, 11.80등급, 74.6", PA236도
    BC : 11.41, 11.80등급, 9.2", PA97도
    59배에서 오렌지색 주성에 매우 어두운 반성들이 9.2초각인데 얼핏 분해되는 듯 하다.. 사실 분해되었을 텐데 워낙 어둡다 보니 분해가 파악이 안된 상황이라 볼 수 있겠다. 도심에서는 어려웠으리라 생각된다. 107배에서 BC별 잘 분해되고 주성과는 멀어 이것만 이중성처럼 느껴진다.

    Delta (δ)별 (삼중성)
    AB x C : 4.54, 10.17등급, 76.5", PA6도
    59배 AB별은 노란색으로 보이고 C별이 멀리 있고 어두워 재미가 없다. C별은 흰색 느낌이다. AB별은 0.3초각대의 초근접 이중성이라 관측 불가하다. 참고로 AB별은 5.7년의 초단주기 물리적 이중성인데 지금이 거의 최대로 벌어진 시점이다. 따라서 15인치 이상 대구경에서 시상이 좋은 날이 아니면 분해가 힘든 대상이다. 궤도 data는 https://www.stelledoppie.it/index2.php?iddoppia=93885를 참조하기 바란다. 
    delta equ.jpg

    β838 (이중성)
    7.92, 10.02등급, 1.67", PA156.2도
    59배 별 상이 약간 찢어진다. 근데 107배는 그런 느낌 없이 그냥 하나의 별 상이다. 59배는 핀쿠션 현상 때문에 잘 못 본 것이다. 181배 어둡게 겨우 나오고 261배도 별반 차이가 없다. 주, 반성다 어두워서 인 거 같다. 예상치 못하게 어려웠다. 주성은 노랗다. 아래 https://www.stelledoppie.it/index2.php?iddoppia=94546의 궤도 data와 같이 1280년 주기를 가지고 1.6초에서 3초 사이를 왔다 갔다 한다.
    bu838.jpg

    조라말 자리의 Best 이중성은 Epsilon 별이고 추천 이중성은 Lambda별, Σ2793을 선정하고 싶다.

댓글 2

  • 조강욱

    2019.10.12 23:25

    이중성을 보며 캬! 하고 탄성이 나왔던게 언제인지 기억이 잘 나지 않네요.. ㅎㅎ
  • 최윤호

    2019.10.14 20:11

    거긴 하늘이 너무 좋으니 굳이 이중성 이런거 찾아보면서 힘빼지 않아도 될 듯 해요. ㅎ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1289 조강욱 1544 2019-12-26
1288 김영주 3699 2019-12-11
1287 김영주 2511 2019-12-10
1286 최윤호 6151 2019-12-07
1285 최윤호 1824 2019-12-04
1284 조강욱 2406 2019-12-04
1283 최윤호 2100 2019-11-29
1282 최윤호 2178 2019-11-26
1281 최윤호 1505 2019-11-24
1280 조강욱 1551 2019-11-1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