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160708 바보처럼 별보는 방법 - 인제
  • 조회 수: 11385, 2016-07-28 16:58:23(2016-07-12)


  • 땅만 쳐다보고 살던, 

    초딩 시절부터 천문학 서적에 빠져 살던 고등학생이

    '너 그러다 굶어 죽는다'는 담임쌤의 진학지도에 천문학자가 되기를 포기하고

    대신 생전 처음으로 밤하늘로 고개를 돌려서 

    서울의 집 옥상에서 여름밤의 대삼각형을 찾아보기 시작한지 23년이 되었다


    오랜 기간 한 해도 쉬지 않고 별을 보면서..

    이것만은 절대로 못하겠다고 생각했던,

    여러 선배들이 관측의 왕도라고 추천하지만 정작 그 형님들도 잘 하지 않던 (쉽지 않으니까)

    천체 스케치를 시작한지도 7년이 흘렀다


    2009년 여름 벗고개에서 어설픈 솜씨로

    메시에 스케치 첫 대상인 17번을 스케치하며 느꼈던

    그 짜릿한 깊은 맛을 계속 느끼고 싶어서

    M17_.jpg

    그간 동시다발적으로 추진하던 각종 별일들을 모두 중단하고

    메시에 대상만 다시 보고 그리는 일에만 7년을 보냈다


    내가 그동안 스케치 하기 전에 보았던 것들을 부정할 생각은 없다. 

    아까우니까!

    하지만 메시에 스케치를 했던 7년 동안

    예전에 충분히 볼 만큼 보았다고 생각했던 익숙한 대상 안에서도 

    너무나 많은 것을 다시 보았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회사 업무의 압박과 굼뜬 손놀림으로 1년에 10개도 채 그리지 못하다가

    작년에 김태환님이 제작한 EQ 플랫폼을 들인 후 단 1년여 만에

    그간 지지부진하던 진도를 대략 6배의 속도로 모두 일소하고

    이제 110개의 대상 중 딱 한 개만을 남겨 놓았다

    M24번.

    우연히 남은 것은 아니었다

    도저히 그릴 엄두가 나질 않아서..

    24사진.jpg
    (출처 : http://www.astrophotographos.com/photos/Star%20Cluster%20images/M24qa.jpg)


    아 대체 이걸 어떻게 그리나?

    매년 미루고 미루다가 여기까지 온 것이다



    또한 7월 관측주간 중 하루에는 KBS스페셜 ‘한국의 과학과 문명’ 다큐멘터리 팀과 동행 촬영이 약속되어 있었다

    PD님, 작가님과 수시로 카톡을 주고 받으며 촬영일을 잡았지만

    연간 가장 별을 보기 힘든 장마철의 하늘이 그리 쉽게 열려주진 않았다

    하지만 지난 스물 몇 해의 기억을 회상해 볼 때 

    장마 기간이라고 월령을 그냥 공치고 지났던 해는 없었던 것 같다

    오히려 태풍 전후의 맑은 하늘에 대한 기억이 더 강렬하다.


    계획했던 촬영일을 미루고 또 미루고.. 달도 그믐에서 초승으로 바뀌고

    드디어, 미국 어플인 웨더채널에서 금요일 밤 맑음 예보가 떴다. 

    512_웨더채널만큼해라.png


    그러나 대한민국 기상청 예보는 계속 흐림.

    당일 아침이 되어도 기상청 예보는 변함이 없다

    512_망할기상청.png


    위성 사진도 안 보나.. 슈퍼컴은 대체 무슨 용도로 쓰는 것일까.

    위성사진.jpeg


    벌써 달이 커지고 있는데.. 이젠 더 이상 기다릴 수가 없어서 번개 공지를 올렸다

    (야간비행 화면 캡쳐)
    번개 공지.JPG



    촬영팀은 우리 집에서 망원경 옮겨싣는 것부터 찍을 예정이라,

    약속된 시간에 조용한 아파트 주차장에 KBS 딱지가 붙어 있는 밴이 한대 들어오니 

    지나가던 주민들이 무슨 사건 사고라도 났나 모두 한번씩 쳐다보고 가신다


    ※ KBS의 ‘한국의 과학과 문명’ 4부작 다큐멘터리 중에 3편이 천문에 관련된 내용이고,
      3편 내용은 고구려부터의 고천문 내용부터 천문연에서 건설 중인 GMT까지
      과거부터 미래까지 이어지는 천체관측에 대한 내용 중에 한 꼭지로 
      현대의 별쟁이는 무엇을 하는지?를 다룰 계획임


    장비를 꺼내고 차에 옮겨 싣고 춘천고속도로를 달리고 인제 관측지에서 장비 세팅하고 

    왜 별을 보는지 인터뷰도 하고 까만 종이에 점 찍는 것까지 찍었는데.. 

    과연 얼마나 나올지는 방송을 봐야 알겠지!


    (김남희님 인터뷰 중)
    800이너뷰.jpg



    기상청 예보는 끝까지 굳건히 구름 많음이라 사실 너무 큰 기대는 하지 않았는데

    해가 지기 전부터 하늘빛이 심상치 않더니

    박명이 되고 나니 엄청난 하늘이 펼쳐졌다

    백조자리를 흘러가는 은하수를 이렇게 디테일하게 본 적이 있었나....

    백조의 갈라진 은하수 조각 디테일이 호주 아웃백에서 보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황홀한 은하수를 넋 놓고 구경하는 와중에도 초저녁부터 끝없이 이슬이 내린다.

    20여년의 관측일 중에 손에 꼽을 정도의 이슬 폭탄이었다 (은하수도 물론 손에 꼽을 정도였지만..)


    이슬이 내리건 말건, 오늘은 무조건 24번을 끝내야겠다.

    9시 조금 넘어서 박명 완료와 함께 촬영을 마치고, 조명을 끄고 관측 시작.

    이슬 폭탄과는 어울리지 않게 시상도 너무 좋다.

    아~~~~ 이걸 언제 다 그리나..

    점 하나 하나, 하던대로 그저 미련하게 

    그 점들의 위치와 밝기를 하나씩 확인하며 최선의 위치에 찍어 나간다

    셀 수 없는 깨알들은 그냥 작은 점으로 대략적인 위치에 탁탁탁..


    24번 점찍기가 두 시간이 넘어가니 머리가 어질어질 하다. 

    그러나 아직 그려야 할 별들의 1/5 정도밖에 표현하지 못했다

    서쪽으로 24번이 넘어가기까지 이제 3시간 밖에 남지 않았는데.. 

    (인제 관측지는 남서쪽의 산이 꽤 높다)


    금요일이라 밤 늦은 시간에도 한달 내리 별을 보지 못한 굶주린 별쟁이들이 퇴근 후 속속 도착하는데,

    흘러가는 시간이 아까워서 인사조차 하지 않았다 (죄송합니다)


    그냥 무식하게 하나씩 보듬어가며 점을 찍다가는 

    남은 3시간이 아니라 30시간이 걸려도 다 그릴 수가 없을 것 같다

    별도 워낙 많아서 관측하고 점을 찍고 다시 아이피스로 돌아오면 내가 어딜 그렸는지도 한참을 찾아야 하는 정도.


    은하수 속의 작고 아름다운 산개성단 NGC 6603도 만들어 주고 

    6603.JPG


    이름 없는 작은 별무리들도 하나씩 빚어 주고..

    별무리들.JPG


    초 집중을 유지하며 다시 한 시간을 더 점을 찍고 나니,

    24번을 관측할 수 있는 남은 시간은 2시간.

    그러나 아이피스로 보이는 모습과 스케치북 위의 대상과의 싱크로율은 40% 미만.

    이제 때가 되었다.

    600이럴줄알고.JPG

    혹시 몰라서 (이럴줄 알고) 준비해 온 비장의 무기, 파스텔 갈이를 꺼냈다

    800파갈이.jpg


    M24번의 잔별들을 도저히 다 점으로 찍을 수가 없어서 

    파스텔 가루의 진하기를 조절하여 농담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결정.


    생각보다 많이 갈린 파스텔 가루에, 지켜보던 남희형님과 PD님이 그림 망칠까봐 걱정했지만

    지우개 찍기 신공으로 겨우 톤을 맞추고..


    24번 관측종료 1시간 전, 지우개를 잘라서 

    모든 신경을 손 끝에 집중하여 Barnard 92번과 93번 암흑성운을 만들었다

    92_93.JPG


    내가 가장 사랑하는 암흑성운인 92번을 내 손으로 만드는 순간을 얼마나 많이 상상했던가.

    천지를 창조하셨던 분도 이런 희열을 느꼈을지 모른다.


    성운도 성단도 은하도 아닌 은하수 조각인 24번을 

    5시간에 걸쳐서 그렇게 바보같이 하나씩 정성들여 하얀 점을 찍었던 이유도

    B92번 암흑성운을 더욱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한 밑그림 이었던 것이다

    그렇다고 너무 과하지 않게.. 딱 보이는 만큼만. 

    (보이는 것보다 더 멋지게 그리고 싶은 욕망은 정말로 참기 어려운 유혹이다)


    그리고 Barnard 92번 암흑성운의 화룡점정이자 Messier 24번의 가장 중요한 별인 B92 내의 11등성을 

    온 정신을 집중하여 찍어 주었다. 

    검은 호수에 떠 있는 하얀 섬 하나! 

    92.JPG


    지난 수피령에서의 관측을 더하면 도합 6시간만에 

    메시에 24번을 완성했다

    M24_Ori_160708.JPG


    (Description)
    24_des.JPG


    해도 지기 전부터 끊임없이 내리는 이슬 폭탄에 두꺼운 스케치 용지마저 이미 물걸레가 된지 오래고

    내 능력으로 더 이상의 표현은 불가능하다 생각하여 

    지우개와 젤리펜을 놓고 서쪽 하늘을 보니 M24는 서산으로 넘어가기 직전.

    EQ를 돌리며 그냥 아이피스에 가만히 눈을 대고 있으니

    얼마 뒤 서산 능선의 나뭇가지들이 시야에 들어온다

    무엇이 무엇을 가리는 것을 유난히 좋아하는 Nightwid. 

    (아동심리를 전공한 마나님의 소견으로는 자폐 아동의 증상 중 하나라고..)

    그 나뭇가지들이 서서히 24번의 별들을 삼키는 모습을 그냥 지켜본다

    별과 나무는 어찌도 그리 잘 어울리는 것일까?


    (나무의 역습 by 조강욱)
    tree_movie.gif



    2009년부터 7년에 걸친 메시에 스케치가 드디어 완성을 보았다

    무언가를 시작하기는 쉽지만 그것을 끝내기는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당연한 인생의 진리를 다시 한 번 되새겨 본다.


    계획하고 있는 다음 프로젝트도 

    또 이와 비슷한 미련한 반복과 수없는 시간이 소요될지 모른다

    아니 아마도 분명히 그럴 것이다

    성도도 볼 필요 없는 익숙한 메시에 스케치 하던 시절이 그리울 정도로..


    하지만 내가 천체관측이라는 아름다운 일에 평생토록 지치지 않을 동력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더 아득하고 이상적인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스스로를 내모는 수밖에 없다는 것 또한

    스스로 잘 알고 있다.

    언젠가 오랜 뒤에 지구별의 어딘가에서 잠들기 전에, 

    꼭 나의 꿈을 이루기 위해, 우주에 흔적을 남기기 위해 평생을 노력할 것이다.


    조만간 메시에 1번부터 110번까지 하루에 한 편씩 별 보는 얘기를 올려 보고자 한다.

    이렇게라도 정리해 놓지 않으면 

    나의 7년간의 소중한 시간과 기억은 M1 게성운의 가스가 소멸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날아가 버릴 테니까.


    그간 저의 메시에 스케치 완주를 응원해 주셨던 수많은 별친구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









                                     Nightwid 無雲






    ※ 그날 촬영했던 화면은 7월 28일 목요일 밤 10시 KBS1 ‘한국의 과학과 문명’ 3편에
       여러 별친구들과 함께 ‘살짝’ 나올 예정입니다 ^^;;;;

댓글 37

  • Profile

    김원준

    2016.07.12 07:30

    드디어 다 그리셧네요.
    축하드립니다ㅎㅎ
    누가 이 기록을 다시 세울수 있을런지
  • 조강욱

    2016.07.13 08:51

    스케치 하는 인구가 아직 별로 늘지 않아서

    그게 좀 안타깝습니다.. ^^;;;

  • 천세환

    2016.07.12 08:51

    수년 동안의 노력이 드디어 결실을!! 

    완전 축하드려요!!! 

    그동안 조강욱님의 글을 보며 '나는 이 사람처럼 뭔가에 열정을 갖고 장시간 노력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반성을 많이 했습니다. 

    덕분에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인생을 살게 된 듯... ㅎㅎ


    방송하는 날은 휴일이니 본방사수하도록 노력할게요. :)

    파스텔 가루로 별을 표현하는 건 어떻게 하시는 건지 궁금합니다.
    며칠 전에 집에서 파스텔로 그림 그리다가 된통 당해서... 설마 문교 파스텔은 아니겠죠? ㅋㅋ

  • 조강욱

    2016.07.13 08:55

    설마.. 바로 그 문교 파스텔입니다 ㅎㅎㅎㅎ

    저는 가끔 컬러로 스케치를 할 필요가 있을 때 4천원짜리 48색 문교 파스텔을 사용합니다

    한가람 문구에 가보면 수십 종류의 비싼 파스텔이 있지만

    아직 제가 그 비싼 파스텔을 쓰면서 '비싼건 다르네' 라고 느낄 만한 실력은 되지 않는 것 같아서요

    문교 파스텔 만으로도 충분히 만족하며 쓰고 있지요 ㅎ;;;


    위에 표현한 것은 문교 파스텔을 파스텔 갈이로 갈아서 균일하게 뿌려 주고서 휴지로 문질러서 종이에 흡수시킨 다음

    지우개로 찍어내면서 톤을 조절한 것이지요

    이런 작업이 필요한 대상은 북반구에선 24번, 남반구에선 3372 정도가 되겠습니다

  • 김철규

    2016.07.12 09:54

    대단하십니다. 우리나라 천문학계에 중요한 위업이 이뤄지는 날인걸 알고 방송국에서도 나왔네요. ^^ 축하드립니다.
  • 조강욱

    2016.07.13 08:56

    ㅎㅎ 방송은 어쩌다 우연히 '그 날' 오게 된 것이라는.. ^^;;;;

  • Profile

    박상구

    2016.07.12 10:51

    마지막을 장식한 24번 정말 아름답네요 혼신의 힘을 다했음이 느껴집니다.

    감동이에요. 대단한 일을 해내셨어요.
    뜨거운 마음을 담아 축하인사를 보냅니다.
  • 조강욱

    2016.07.13 08:56

    같이 뵈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24번은 정말 혼신의 힘을 다하고 싶지 않아도 어쩔 수 없이.. ㅠ_ㅠ

  • Profile

    장형석

    2016.07.12 17:43

    아. 24번을 마지막까지 아껴둔 이유가 있었네요
    축하드립니다 ^^
    새로운 목표 또한 언젠가 다 이루고 이런글이 올라오기를 기대해봅니다.
  • 조강욱

    2016.07.13 08:58

    원래 매도 먼저 맞아야 한다고 하는데..

    나중에 맞으니 너무 힘들었습니다 ㅎㅎㅎ;;;;


    새로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또 다시 처음부터 시작해야지요

  • 원종묵

    2016.07.12 18:36

    항상 느끼는 거지만... 강욱님은 단순히 아마추어 천문인이라고만 소개하기엔 너무나 다재다능한 능력을 가지신거 같습니다. 오늘 스케치는 하나의 예술작품이네요. 감탄 + 감동 + 경이 + 전율 ... 앞으로 연재할 별 스토리 기대할께요 ^^
  • 조강욱

    2016.07.13 08:59

    글을 쓰는 것도 그림을 그리는 것도 별강연을 떠드는 것도 모두 본질적으로 별을 더 잘 보기 위함이죠 ^^;;

    110부 연재글도 이렇게 무작정 던져놓지 않으면 시작을 못할 것 같아서요.. ㅎ;;;;;

  • 이한규

    2016.07.12 21:10

    추카, 추카드립니다.
    드디어 7년간의 긴 장정을 끝내셨군요.
  • 조강욱

    2016.07.13 09:01

    감사합니다

    7년은 정말 길더군요. 하지만 그 덕분에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김재곤

    2016.07.12 22:04

    바보.. 가슴이 뭔가 짠한 단어네요.
    강풀의 바보 같은 느낌.... 다들 복잡하고 셈이 복잡해지는 요즈음 가슴의 작은 울림이 되네요. 고생하셨어요.. 강욱씨..
  • 조강욱

    2016.07.13 09:03

    강풀의 바보는 제대로 보지 않아서.. ^^;;

    저는 반복에 지치지 않는 자가 성취한다는 미생의 글귀가 와 닿아서

    바보처럼 미련하게 반복하는 것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었어요

  • 홍대기

    2016.07.13 02:49

    짝짝짝~ 강욱님의 열정과 바보스러움(?)에 박수를 보냅니. 무조건  본방 사수입니다~ ^^;

  • 조강욱

    2016.07.13 09:03

    감사합니다~ 제 못생긴 얼굴이 얼마나 오래 전파를 탈지 지켜봐야죠 ㅎㅎㅎ

  • 김상욱

    2016.07.13 03:43

    박수를 보냅니다. 같은 걸 봐도 다르게 볼 줄 아는 안목이 멋집니다. 축하드립니다.
  • 조강욱

    2016.07.13 09:04

    같은 것을 보며 다른 것을 생각하는 것은 별보기의 중요한 즐거움인 것 같습니다

    토요일 천문연 시상식에서 뵐 수 있을까요? ^^*

  • Profile

    김태환

    2016.07.13 05:21

    이제봤네요... 대장정의 마무리 끝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주말에 봅시다...
  • 조강욱

    2016.07.13 09:05

    김태환님의 EQ가 혁혁한 무공을 세웠지요

    정말 감사합니다 ^^*

  • 반형준

    2016.07.13 07:23

    축하드립니다.ㅎㅎ 마지막 끝판왕의 위용이 엄청나네요. 저도 빨랑 목표 하나 잡고 더시 시작해야하는데.... 고민입니다..
  • 조강욱

    2016.07.13 09:06

    정말 엄청난 끝판왕이더군요.

    영원히 스테이지가 끝나지 않을 것만 같은.. ㅠ_ㅠ

    형준님은 어떤 목표를 세우고 관측을 할지 기대됩니다 ㅋ

  • 김대익

    2016.07.13 18:50

    메시에 목록 스케치 완성 축하드려요.
    강욱씨의 집념과 끈기에 찬사를 보냅니다.
    그동안 고생 많이 하셨어요. ^^
  • 조강욱

    2016.07.14 03:03

    집념과 끈기..

    별에 대한 맹목적인 집착이 

    제게 마르지 않는 에너지를 주는 것 같아요 ^^;

  • 류창모

    2016.07.13 22:13

    눈물이 날 것 같습니다. 아름다운 메시에 24입니다. 앞으로 메시에 24는 강욱님 그림으로 대신하겠습니다.
  • 조강욱

    2016.07.14 03:04

    저보다 훨씬 더 멋진 관측을 하셔야지

    이걸로 대체하심 안되죠 ㅎ

    그나저나 왜 얼굴을 안 보여 주시나요 ㅠㅠ

  • 김남희

    2016.07.13 23:42

    가루 뿌리는 순간... 망치는건 아닐까 걱정이 앞섰는데.. 멋지게 탄생이 되었군요. 그동안 고생 많이 했네요. 축하드립니다.^^
  • 조강욱

    2016.07.15 00:01

    파스텔 가루가 생각보다 많이 갈려서

    저도 사실 긴장했었는데 ㅎㅎ

    억지로 억지로 복구했죠.. ^^;;;

  • 이한솔

    2016.07.14 00:55

    축하! 축하드립니다!!
    그날 하늘이 너무 좋아 24번 다 못그릴 줄 알았는데
    그동안 스케치 하며 익힌 테크닉으로 가볍게 완성 하셨네요 ㅎㅎ
    덕분에 카메라 앞에도 서보고 재미 있었습니다 ㅎ
  • 조강욱

    2016.07.15 01:20

    24번은 정말 겨우 safe 이었죠 ㅎㅎㅎ

    5년전에 호주에서 열쇠구멍 그리던 방법을 응용해 보았습니다 ^^;;

  • 김민회

    2016.07.14 03:27

    축하합니다. TV에서 뵙겠습니다.
  • 조강욱

    2016.07.15 01:21

    흠 못생긴 얼굴 시각공해 미리 죄송한 말씀 드립니다 ㅋㅋㅋ;;;

  • 이준오

    2016.07.14 08:01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글고 언제이고 이쪽 남쪽나라에서 한번 날밤을 하얗게 까야할껀디요...ㅎㅎ
  • 조강욱

    2016.07.15 01:21

    아직 살아 계셨군요.. ㅎㅎㅎ

  • 정기양

    2016.07.28 16:58

    끈기있게 애 많이 쓰셨습니다. 정말 존경스러워요....
    축하 많이 많이 드리고 오늘 밤 꼭 보겠습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219 이윤행 11280 2017-05-22
218 박진우 11377 2014-02-01
조강욱 11385 2016-07-12
216 조강욱 11457 2011-08-01
215 김철규 11474 2014-01-10
214 이화영 11475 2003-05-20
213 강경원 11479 2012-05-25
212 장형석 11490 2017-03-05
211 김경식 11511 2003-09-30
210 조강욱 11531 2011-05-15
209 조강욱 11534 2013-01-05
208 김재곤 11563 2014-01-07
207 김재곤 11606 2017-01-09
206 박진우 11607 2013-12-03
205 이준오 11609 2009-02-05
204 조강욱 11633 2013-06-02
203 이한솔 11675 2015-12-15
202 김영주 11678 2017-03-01
201 조강욱 11695 2010-08-04
200 김남희 11707 2012-09-2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