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17년 5월 27일, 평창 관측 후기
  • 조회 수: 13491, 2017-05-29 21:10:03(2017-05-29)
  • 주말 정말로 드물게 좋은 날씨가 펼쳐져서 즐거운 마음으로 관측을 했습니다. 


    일시 : 2017년 5월 27일 21시  ~ 04시

    장비 : 16인치 UC 허블이, 13mm/8mm 에토스

    참석자  : 김재곤, 최윤호, 홍대기, 박진우, 박상구 5명.



    관측지 환경에 나날이 나빠지는 상황인데, 평창 이 곳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 장소가 어떻게 바뀔지 걱정입니다.


    장비를 펼쳐서 목성을 겨눠봅니다. 시상을 한번 챙겨본건데, 냉각 시간을 거치지 않았음에도 위성들이 잘 분해되어 보이는 날씨입니다.

    옆자리에 20인치 박진우씨가 있어 허블이랑 비교해 보는 재미가 쏠쏠했습니다.


    가볍게 터치한 대상들은 제외하고 인상 깊에 남은 대상들을 정리해 봅니다.


    Johnson 혜성

    - 며칠전 동네에서 찾을려고 낑낑대었습니다만, 여기서는 파인더에서 분리가 됩니다. 동네에서 안 보이는게 맞네요. 

      망원경에서 본 모습은 2개의 꼬리가 ㄱ자 모양으로  분리되어 보이는 느낌이었습니다. 

      꼬리가 왜  왜 태양쪽으로 있을까라고 얘기를 나눴는데, 

       https://ko.wikipedia.org/wiki/%ED%98%9C%EC%84%B1    

      "지구가 혜성의 궤도면을 통과할 때에는, 혜성의 휘어진 먼지 꼬리와 지구와의 위치에 의해 태양의 방향으로 꼬리가 뻗은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  라는 설명이 있네요. 

      간만에 지구를 방문한 손님을 즐겁게 볼 수 있었습니다. 



     Hickson 79 (Seyfert's Sextet)

    79.PNG


    허블이로 정말로 정말로 오래 팼습니다. 책에는 5개의 은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ㄱ" 자 모양의 그룹이 느껴졌는데, 사진과 비교해 보면

    a,b,c를 보았고, d,e 는 검출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22인치, 360배에서 보았다고 되어 있는데, 16인치 230x 에서는 쉽게 그 자태를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Hickson 57 (Copeland's Septet)

    57.PNG

    20인치의 위력이 느껴지는 대상이었습니다. 박진우 선생의 지도하에 사진과 비교하면서 하나씩 찾아봤습니다.

    직시와 주변시를 적절히 섞어서 전 대상  검출 가능하였습니다. 주변을 지긋히 보고 있으면 툭툭 튀어 나옵니다. 

    f 까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하늘이 너무 좋으니, 어려운 대상을 찾기 보다는 이미 보았던 대상들을 다시 보았습니다.


    M51 

    - M51의 나선팔을 쉽게 구분이 되었으며 브릿지도 느껴졌습니다. 위성은하는 마치 51은하의 머리(오른눈 잡이용 망원경에서)처럼 느껴졌습니다. 

      세부가 분해된다고 해야 되는 상황이라, 같이 관측하신 분들 모두 정말 감탄을 금치 못했습니다. 


    몇가지 더 찾아보고, 피곤해서 잠시 취침을 하였습니다. 윤호씨가 깨워서 나와보니, 하늘에 구름이 몰려와서,,,아 은하수네요.

    정말 진한 은하수였습니다. 역대급이라는 의미가 이런 상황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높은 고도도 한 몫을 한 것 같습니다.


    M16

     - 창조의 기둥 찾기를 했습니다. 중심의 두별 바로 위에 있는 기둥 본체는 쉽게 어두운 영역으로 인지가 되었고, 한참을 째려보면 첫번째 필라가

       언뜻 눈에 나타났습니다.  20인치로 보면 두번째 필라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

       20인치로 한번 보고나니, 16인치에서도 그 느낌으로 계속 살펴서 느껴볼 수 있었습니다. 이로서 드디어 창조의 기둥을 본 사람 "1인 추가" 가 되었습니다.


    궁수자리 은하수가 너무 진해서 명작 순례 모드를 시작했습니다.


    M22, M28, M8, M20, M21, M23, M24, M18, M17까지. 기존에 보았던 모습들을 다 바꿀 수 있는 이미지였습니다.


    삼열 성운, 석호, 오메가는 필터를 바꾸어 가며 그 보이는 모습간의 비교가 굉장히 흥미로왔습니다.

    특히 M17의 경우는 다리 부분을 휘감는 성운기를 확실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http://www.nightflight.or.kr/xe/186889  강욱씨 스케치를 잠시 펼쳤는데, 스케치 이미지에서는 다리 부분이 아마도 느껴지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만,

    어제 밤하늘에서는 성운기를 충분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잠시 쉬는 동안 상구님과 궁수자리에 있는 페라리 찾기 놀이를 했습니다. 몇년전에 942에서 새벽녘에 한번 본적이 있었는데, 어제는 다리 부분은 느껴졌으나

    몸 부분은 긴가 민가하는 상황이었습니다. 



    M13

     - 직시로 찾기 도전을 했습니다. 한참을 하늘을 응시하니 살짝 희뿌연 빛뭉치가 나타났습니다. 다른 분들은 잘 보인다고 하던데, 저는 별보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눈을 가졌나 봅니다. 한참을 쳐다보고 서야...


    베일 성운

      - 20인치로 본 베일 성운은 면사포 모양이 둥글게 말아져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그 세부구조의 느낌이 세세히 다가왔습니다. 스케치에 소질이 있었다면

        세부 디테일 표시를 한 이미지 하나 남겨두고 싶은 느낌이었습니다. 


    cat's eye

      - 윤호님, 상구님께서 성운을 둘러싼 성운기가 주변에 펼쳐지 있다고 하셨는데, 저는 100% 보았다고 확신이 어려웠습니다. 밝은 별 주변에는 밝은 빛뭉치가

       있는데, 이런 성운 주위에는 생기지를 않으니, 약간의 빛뭉치를 성운기로 인식해도 될 것 같았습니다. 



    이후 박명이 되어, 장비를 접고 집으로.. 



    하늘이 너무 좋으니, 굳이 잘 보이지 않는 대상들과 싸우기 보다는 명작들의 세부 디테일을 다시 한번 체크해 보는 관측회였습니다.

    전날 너무 무리를 해서 실질적으로 3시간도 채 관측을 못했는데, 아쉬운 밤이었습니다. 


댓글 5

  • 홍대기

    2017.05.29 01:06

    저는 구름인 낀 것 처럼 진한 은하수는 이번에 처음 보았습니다~. 이 좋은날  컨디션이 너무 메롱이어서 빡세게 관측을 하지 못하고 다른 선배님들 눈동냥만하다 왔네요. 친절하게 많이 찾아 보여주신 여러 회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남은 주말 편한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

  • 최윤호

    2017.05.29 01:15

    정말 하늘이 너무 좋아서 한동안 은하수만 바라봐도 즐거운 밤이었습니다. 도전대상이었던 위의 힉슨도 점령하셨으니 이제 더 깊은 대상으로 고고 하셔야겠습니다. ㅎ
  • 김남희

    2017.05.29 05:52

    좋은 관측지 하나가 또 사라지는군요. 저는 증평 모처에 있었습니다. 내륙 어둡다는 곳이었지만 아쉬운 하늘이었고 봉사와 즐거운 인연을 맺고 왔습니다.
  • Profile

    김원준

    2017.05.29 19:26

    맛잇는 감자들이  모여산다는 그곳인가요?ㅎㅎ

  • 최윤호

    2017.05.29 21:10

    좀 두고 봐야 될 것 같아요. 공사 계획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이곳도 942와 비슷하게 급격한 커브를 좀더 완화하는 공사같아서 공사가 마무리 된다면 942와 비슷한 장소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1089 김남희 8877 2017-06-02
1088 최윤호 12078 2017-05-30
김재곤 13491 2017-05-29
1086 이윤행 11280 2017-05-22
1085 최윤호 12293 2017-05-22
1084 조강욱 9747 2017-05-08
1083 김승희 9883 2017-05-07
1082 박진우 7452 2017-05-04
1081 최윤호 13015 2017-05-02
1080 김영주 7888 2017-05-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