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의 보석(이준석 님) ~☆+

  • 외뿔소자리 (Monoceros, Mon) [겨울]
  • 김경식
    조회 수: 14536, 2003-11-09 10:19:45(2003-11-09)
  • 외뿔소자리 (Monoceros, Mon)




    ngc 2244

    외뿔소자리에서 가장 멋있는 산개성단인 ngc 2244는 100여개의 별들이 모여 있는 성단으로 밝은 이중성 Epsilon성에서 동쪽으로 2.5도 지점에 위치한다. 크기는 39광년이고 유명한 아마추어 천문가 윌리암 허셀이 처음 발견한 이 성단은 전체 밝기가 4.8등급이기 때문에 날씨가 좋은 날에는 맨눈으로도 이 희미한 얼룩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파인더로도 우유 빛의 성운기를 가진 24분 영역 안에서 희미한 별들이 반짝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나이는 300만년 정도 된 젊은 성단으로 아직 어리기 때문에 주위에 가스 구름이 덮고 있다.
    ngc 2244 내에서 제일 밝은 별은 5.8등급으로 청백색의 거성이다. 12번성도 이와 비슷한 노란색의 거성인데 여러분들은 이들 별들의 색을 쉽게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6인치 망원경에 저배율 아이피스를 사용한다면 제일 밝은 6개의 별을 포함한 20여개의 별들이 20분 크기로 직사각형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게 될 텐데 이 직사각형 안쪽과 바깥쪽에는 90여개의 희미한 별들이 운집하는 모습은 정말 장관이다.


    장미성운

    윌리암 허셀이 처음 발견한 ngc2 244에 비해서 장미성운이라고 일컫는 ngc 2237, 38, 46의 성운들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관측되었다. (그런데 그중 ngc2239는 성운 안에 싸여 있는 조그만 산개성단으로 ngc 2244의 서쪽에 위치하는데 존 허셀이 발견하였다.)
    알버트 마스는 장미성운을 관측한 최초의 인물로 48인치 금속 반사 망원경을 사용해서 ngc 2238을 발견하고 "성운 속에 작은 별이 위치한다."라고 언급했다. 사진을 찍어보면 상당히 큰 모습으로 보이지만 안시관측을 통해서는 그 일부만을 볼 수 있다. 알버트 마스 이후에 루이스 스위프트가 1880년대에 두개의 성운을 더 발견하였다. 후세 사람들은 스위프트가 발견한 두 성운 중 하나는 마스가 발견한 것이라고 믿고 있는데 사실 그가 이용한 관측 장비는 뉴욕 로체스터에 있는 16인치 굴절망원경이었으며 이 망원경은 F수가 커서 표면밝기가 낮은 성운 관측에는 적합한 장비가 아니었다.
    그 후 1980년대에 Lumicon사에서 성운필터를 개발한 후 장미성운을 맨눈으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허셀이나 많은 전문가들이 실패한 성운을 이제는 초보 아마추어들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ngc 2244의 밝기는 상당히 감소될 것이다.)
    장미성운은 ngc 2244를 구성하는 별에서 발생한 가스로 성단이 오직 300만 년 전에 생긴 어린 별들이기 때문에 장미성운의 가스는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고 성단의 중력에 의해 휘감기는 모습을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아마도 수천 만 년 후에는 장미성운도 충분히 나이가 들어 사라지게 될 것이다.
    장미성운과 ngc 2244는 35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성운의 크기는 80분x60분, 성운과 성단간의 실제 거리는 130광년 정도이다.
    장미성운의 관측은 무척이나 어렵기 때문에 10~12인치급 망원경에 저배율 아이피스를 사용해서 시상이 좋은 날 관측해 보자. 여러분은 아마도 1도 정도 되는 희미한 회색의 둥근 조개껍질 모양의 성운을 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중심부의 검은 구멍도 확인할 수 있을 텐데 성운의 가장 밝은 부분의 검은 얼룩 역시 확연하게 드러난다. 몇몇 관측자들은 소구경 망원경으로도 장미성운은 일정하게 빛을 발하는 둥근 덩어리로 보인다고 주장한다. 고배율을 사용하면 밝은 성운 내부에 있는 얼룩덜룩한 여러 가지 점들과 대체로 원형의 모습을 하고 있는 어렴풋이 빛나는 성운의 외형이 눈에 들어올 것이다. 이들은 장미성운과 관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작은 암흑성운들로 별들을 형성하려고 붕괴된 먼지 구름으로 알려져 있다.
    휴스턴은 자신의 4인치 Clark 굴절망원경으로 여러 차례 시도했었지만 실패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몇 명의 캐나다 관측자들도 성운 주위에 희미한 오로라와 같은 장미성운을 관측했다고 말한다. Philip S. Harrington도 역시 그의 책에서 장미성운 관측시에는 성운필터가 추천할만한 도구이지만 날씨가 아주 좋은 경우에는 꼭 필요한 물건은 아니라고 언급했다. 이와 같이 장미성운에 대해서 여러 가지 의견들이 분분한데 역시 날씨에 큰 좌우를 받는 듯싶다.
    Lumicon사의 UHC 필터를 10.1인치 돕소니언 망원경에 설치하고 나서 장미성운을 관측한 한 아마추어는 완전한 원형을 그릴 수는 없었지만 북동쪽 지역이 가장 밝았고 남쪽이 가장 불분명했다고 한다.


    ngc2232

    외뿔소자리의 또 다른 산개성단으로 달의 크기 정도 되는 원 안에 10여개의 별이 운집해 있는 ngc2232는 하나의 4등급의 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도 쉽게 볼 수 있으며 쌍안경을 사용하면 아름다운 광경을 만끽할 수 있다. 그러나 약간의 배율을 높이면 주변의 별들과 콘트라스트가 떨어져서 성단의 모습이 희미해진다.




    NGC2264

    장미성운의 북동쪽 5도 지점에는 밝고 어두운 여러 개의 성운이 엉켜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그 안에는 멋있는 산개성단 ngc2264가 위치한다. 미국의 유명한 천문가 리렌드 코펠랜드에 의해서 "크리스마스 트리 성단"이라는 명칭을 붙인 이후로 유명해진 이 성단은 3.9등급의 밝기에 ngc2244보다 더욱 밀집해 있는 모습을 보여 준다. 40여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이 성단은 지구로부터 2400광년 떨어져 있다.
    크리스마스 트리의 기반을 지지하는 지역에는 5등급의 거성인 S성이라는 변광성이 위치하는데 성단의 모습을 기묘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는 별이다. 크리스마스 트리 성단의 모습은 이름 그대로 9개의 각기 다른 별들이 나무와 같은 모습을 형성하지만 또 다른 관측가들은 다이아몬드 모양이라고 하기도 한다.
    크기는 거의 보름달만하기 때문에 안시관측시에는 저배율 아이피스를 사용해야 하고 사진촬영을 하게 되면 약간의 성운기를 볼 수 있는데 사진이 없었던 허셀 시대에도 성운기는 관측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현대의 천문가들에게서 의문시되는 부분인데 허셀의 19인치 금속 반사 망원경은 오늘날의 12인치 망원경과 비슷했으리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Cone Nebula

    거대한 성간물질이 ngc 2264를 덮고 있을 때 이 성운은 장미성운 보다 훨씬 더 어둡다. 성운 내부에서 가장 밝은 부분을 ngc 2264라고 부르는데 전체 크기는 60분x30분 정도 된다. ngc 2264의 성운을 찾으려면 성단에서 남쪽으로 40분 이동하면 된다. 그러면 하늘에서 가장 멋있고 불투명한 암흑성운과 산광성운이 조화를 이룬 콘 성운을 만날 수 있다. 콘 성운은 길이가 5분, 폭이 40초에서 3분 정도 되는데 대구경 망원경으로 맑은 하늘에서 보면 회색빛의 성운기와 검은 암흑성운이 멋진 대조를 이룬 모습을 보여준다.


    ngc2261, 변광성 R

    또다른 성운으로 ngc2264에서 남서쪽으로 2도 움직이면 진기한 발광성운 ngc2264(일명 허블 변광성운)이 위치한다. 1783년 윌리엄 허셀이 발견했는데 독특한 삼각형 모양의 성운이 11~14등급으로 밝기를 변화시키는 변광성 R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별빛에 따라서 성운의 밝기와 크기가 달라진다.
    변광성은 1861년 아테네 천문대에서 발견했는데 1916년에 에드윈 허블이 여러 장의 사진을 통해서 성운의 밝기 변화에 의해 구조도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좀더 전문적인 연구는 로웰 천문대의 칼 렘프렌트에 의해서인데 30년 동안 900장의 사진을 촬영하여 변광주기는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러나 놀랍게도 그는 성운의 세부 모습이 4일 만에 1.0초씩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이유는 변광성을 돌고 있는 암흑물질에 의한 운동에 기인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대체로 변광성운은 거의 대부분이 희미하지만 허블 변광성운은 특이하게도 표면밝기가 높아서 쉽게 관측이 가능하다. 먼저 시상이 좋은 날을 선택해서 고배율 망원경으로 성운의 윤곽을 파악해 보자. 아마도 성운은 짧은 시간 안에 계속해서 모양을 변화시킬 것이다. 어떤 때는 쐐기 모양의 별과 같이 변화시켜서 혜성으로 오인하기도 한다. 크기는 1분이며 대략 10등급 정도인데 1949년 1월 팔로마 천문대의 200인치 망원경의 첫 사진 촬영 대상이 바로 ngc2261이었다고 한다. 이것이 왜 팔로마 망원경의 첫 대상이 됐는지는 아무도 모르는 사실이다.


    NGC 2245

    Leland S. Copeland의 크리스마스트리 성단인 ngc 2264에서 서쪽으로 2도 떨어진 지점에 있는 성운으로 근처의 밝은 8등급의 별이 있기는 하지만 11등급의 어두운 별 주위에 2분 키기로 퍼져있는 어두운 성운이기 때문에 찾기가 쉽지 않다.
    8인치급 망원경에 성운필터를 사용하면 아마도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시상이 좋은 날 관측한 몇몇 아마추어들은 북동쪽으로 뻗어있는 혜성과 같은 꼬리가 보였다고 하기도 한다. 20인치급 이상의 대구경 망원경을 사용하면 성운 내에 가려진 희미한 수십 개의 별들도 볼 수 있을 것이다.




    ngc2182, 2183, 2185

    약간 동쪽에 위치한 반사성운인데 (정확하게는 Gamma성의 서쪽에 위치한다.) ngc2182는 9등급의 별을 둘러싸는 성운으로 13.1인치 망원경으로 둥글거나 타원형의 모습을 볼 수 있다.
    ngc2183/5는 한 아이피스 안에 같이 들어오는데 NGC 2185가 약간 더 밝으며 3개의 희미한 삼각형 모양의 별들을 감싸고 있다.
    ngc 2183은 13등급짜리 별 하나를 둘러싸는 반사 성운으로 상당히 어둡다. 이들 성운의 모습은 8인치급이면 확인이 가능한데 성운필터를 부착하게 되면 한결 쉽게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 sky Catalogue 2000.0에는 크기가 1분으로 기록되어 있다.


    NGC 2170

    외뿔소 자리 Gamma성에서 ¾도 지점에 위치한 밝은 성운으로 수소가스 덩어리와 암흑 성운들이 엉켜있는 복잡한 모습을 하고 있다.
    ngc 2170자체는 6~8인치급 망원경을 통해서 10등급의 별을 둘러싸는 불규칙한 형태의 빛 덩어리로 보이는데 대구경 망원경을 사용하면 타원형의 모습 안에 있는 세부적인 구조를 자세히 볼 수 있으며 광시야 아이피스가 있으면 한결 쉽게 관측할 수 있다.


    Van den Bergh 68, 69

    ngc 2182와 ngc 2170 사이에 위치한 희미한 한 쌍의 성운들로 드레이어가 편집한 ngc 성운 성단 목록에는 언급되지 않은 성운들이다. 이들은 오늘날에도 애매한 대상으로 알려져 있는데 각각 9등급짜리 별을 둘러싸는 반사 성운이다.
    아마도 초 대구경 망원경을 숙련된 관측자가 사용한다면 이 성운들의 숨겨진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NGC 2316

    우리 은하면에서 2도 정도 떨어진 은하수의 한 부분에 위치한 ngc 2316은 반사성운과 산광 성운의 복합체로써 M50에서 북서쪽으로 1도 지점에 위치한다. 8~10인치급 망원경을 사용하면 북쪽에 있는 3개의 희미한 별과 함께 성운의 희미한 모습을 접할 수 있는데 12인치급 망원경으로는 성운 내에 위치한 희미한 쌍성들을 보기 힘들 것이다.


    NGC 2301

    소구경 망원경에 적합한 산개 성단으로 6등급에 12분의 크기를 갖고 있다. 8등급짜리 별들이 80여개 모여 있는데 쌍안경이나 소구경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면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다.
    8인치급 반사나 80㎜ 굴절 정도면 전체적으로 삼각형 모양을 형성하는 6~8등급의 15개의 별들이 모여 있으며, 북쪽 지역에는 특히 밝은 일련의 별들의 체인성을 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40~50여개의 별들을 구별할 수 있다.
    Harrington은 이 성단을 보고 날고 있는 새를 연상시켜서 “큰새 성단”이라고 명칭을 붙였다. 새의 거대한 날개는 3방향으로 퍼져 있는 일련의 별들로 구성되었는데 여러분은 이것을 보고 무엇을 느낄 것인가?


    NGC 2322

    수년 동안 많은 성도에서 잘못 기록되었던 산개 성단으로 날씨만 좋으면 맨눈으로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성단 내에서 가장 밝은 별은 10번성인데 5등급이며 나머지 20여개의 별들은 8~20등급 정도인데 삼각형 모양을 형성한다. 크기는 보름달 정도 되는데 실제로 일반적인 망원경보다는 쌍안경에 적합한 대상이다.




    NGC 2506, 2353

    20분 크기에 30개의 별이 모여 있는 산개 성단으로 전체 밝기는 7.1 등급이다.
    6~8인치급 반사 망원경을 사용하면 각각 남쪽과 북쪽에 6등급의 밝은 별이 위치하며 특히 북쪽에 밝은 별들이 운집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성단의 북서쪽 지역에 암흑대도 퍼져있다.
    NGC 2353과 함께 가장 많은 별을 가진 산개 성단 중 하나로 NGC 2506은 10.8등급 정도에 150여개의 별이 모인 성단인데 크기는 7분밖에 되지 않는다.


    M50

    외뿔소자리에 위치한 유일한 메시에 목록으로 1711년 카시니가 처음 발견했으며 메시에는 그 후 63년 후에 독립적으로 자신의 목록에 수록시켰다. M50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시리우스에서 프로키온 쪽으로 1/3정도 이동하면 되는데 80여개의 별들이 16분의 크기 안에 모여 있는 산개성단으로 밝기는 5.9등급이다.
    아주 어두운 날이면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이 성단은 쌍안경을 사용하면 성단의 중심에서 남쪽으로 7분 떨어진 외롭게 빛나는 붉은 별과 함께 마치 적색 성단이 청색의 하늘과 백색의 별들 사이에 떠있는 것 같이 보일 것이다.
    8인치 망원경을 사용하면 서쪽에 있는 부러진 화살 모양의 별무리와 약 50여개의 별들을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Beta성

    소구경 망원경으로 쉽게 즐길 수 있는 삼중성인 Beta성은 열성적인 이중성 관측가들에게 쉽게 잊혀지지 않는 아름다운 별로써 장미성운의 남쪽 11도 지점에 위치한다. 4.7등급과 5.2등급의 별이 7.3초 떨어져 있으며 P.A.는 132도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6.1등급의 별이 10.0초 떨어져 있는데 P.A.는 124도이다. 이 3개의 별은 순백색을 띄고 있기 때문에 색깔의 대비를 느낄 수  없지만 수많은 별들 사이에 3개의 별의 모습은 무척이나 아름답다.

댓글 0

위지윅 사용
번호 분류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8 가을 조미옥 10095 2003-11-11
7 김경식 10092 2003-05-04
6 가을 조미옥 9950 2003-11-11
5 김경식 9950 2003-05-04
4 가을 조미옥 9911 2003-05-10
3 가을 이현동 9895 2003-05-09
2 가을 조미옥 9730 2003-05-10
1 가을 조미옥 9571 2003-05-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