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의 보석(이준석 님) ~☆+

  • 작은 여우 자리(Vulpecula, Vul) [여름]
  • 이현동
    조회 수: 10830, 2003-05-06 08:15:31(2003-05-06)
  • 작은 여우 자리(Vulpecula, Vul)

      여름철 은하수와 맞닿는 지역에 있는 희미한 별들로 이루어진 별자리로 원래 17세기 후반 헤빌리우스가 거위와 작은 여우 자리라고 이름 붙였지만 지금은 여우만이 남아서 별자리를 지키고 있다. 비록 조그맣고 어두운 별들이 모여 있는 별자리지만 그 안에는 무수히 많은 Deep Sky 대상들이 널려 있다. 가장 크고 멋있는 행성상 성운인 아령성운과 쌍안경으로 보아야 할 산개성단 Collinder 399는 이 지역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상들이다.




      M27(NGC 6853)

      작은 여우자리 아령성운은 거문고 자리의 고리성운 보다 밝고 큰 행성상 성운으로 밝기는 7.6등급, 350초의 크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파인더나 저배율 쌍안경으로도 쉽게 분간할 수 있다. 이 행성상 성운은 하늘에 있는 모든 행성상 성운중에서 가장 밝고 큰 대상으로 4인치급 망원경 50배의 배율에서 일정하게 빛나는 타원형 원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소구경 망원경을 사용해도 아령 모습을 어렵지 않게 관측할 수 있다. 대구경 망원경을 사용하면 상당히 응축된 가스 덩어리가 매우 불균일하게 퍼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원반 모습을 형성하는 가스 주위에는 수 많은 별들도 같이 보인다. 여우자리 12, 13, 14, 16, 17번성이 바로 그것인데 멋진 M자를 형성하며 M27은 14번성 바로 남쪽에 위치한다. 이들 별무리는 M27을 멋진 대상으로 만드는데 일익을 담당한다. 영국의 관측가 로스경의 거대한 72인치 반사망원경으로 본 묘사에는 이 성운 내부에 18개의 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하는데 여러분은 과연 몇 개나 볼 수 있을지......
      필자는 이 행성상 성운을 7인치 카세그레인 망원경과 서강대 천체관측소에 있는 10인치 돕소니언으로 자주 관측해 보았는데 화살자리의 Gamma성(γ)에서 북쪽으로 약간 이동하는 방법으로 찾아갔으며 그 때마다 장구모양이나 아령, 나비 또는 먹다버린 사과 모양의 이 밝은 성운을 보게 되었다. 또한 특이한 점은 Lumicon사의 UHC 필터를 착용하고 관측했을 때 성운의 크기가 두 배 정도로 확대되어 보이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또한 아령 성운은 상당히 밝기 때문에 배율을 높여도 자체의 밝기가 많이 어두워지지 않는 다는 것도 특징중의 하나이다. 중심성은 13.9등급의 푸른색 별로 아주 날씨가 맑은 날 8인치급 망원경으로 어렵지 않게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

      Collinder 339

      쌍안경에 적합한 멋진 산개성단이지만 많은 아마추어들은 이 대상을 모르고 있는 듯 싶다. “옷걸이 성단”이나 “브로치 성단”으로 잘 알려진 대상으로 60여개의 별들이 1도 크기안에 모여서 멋진 옷걸이를 형성한다. 은하수 부근에서 쉽게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으며 성단내에서 가장 밝은 별은 4.5등급의 7번성으로 날씨만 좋으면 맨눈으로 쉽게 분별할 수 있다.
      쌍안경으로는 쉽게 옷걸이를 연상시켜 주는데, 직선으로 늘어져 있는 6개의 별과 4개의 다른 별들이 옷걸이의 걸게를 만들어 준다. 50mmTkddksrud으로는 20여개의 별을 분간할 수 있으며 주위에 가득찬 은하수의 먼지 덩어리와 함께 아마도 여러분만의 목록을 멋지게 장식해 줄 것이다.

      Stock 1

      작은 여우자리에서 두 번째로 큰 산개성단으로 40개의 별들이 1도 크기안에 모여 있다. 이들 중 절반이 9등급 이상의 별들로 쌍안경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Collinder 399와는 달리 Stock 1은 성단의 경계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특히 어려운 대상이지만 주변의 별들 때문에 더욱 아름다운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Stock 1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알비레오에서 남동쪽으로 3.5도 이동한 다음 희미하지만 4개의 별의 반원 모습에서 8등급의 원형을 찾아 서쪽으로 이동해 가면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별들은 성단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반원에서 북서쪽에 있는 7등급의 별이 가장 밝은 별이다.




      NGC 6823

      백조자리 Beta성(β) 알비레오에서 남동쪽으로 6도 지점에 있는 산개성단으로 7.1등급의 밝기에 12분의 크기를 갖고 있다. 8인치 반사나 4인치 굴절망원경으로 관측하면 상당히 느슨하게 퍼져있는 30여개의 별들을 볼 수 있는데, 성단 이외에 전체적으로 펼쳐진 별들은 대략 100여개 정도 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NGC 6820

      희미한 산광성운으로 크기는 40분*30분 정도이며 NGC 6823 주위에 넓게 퍼져있다. 표면밝기가 낮아서 상당히 관측하기 힘든 대상인데 8인치 슈미트 카세그레인 망원경 정도면 주변에 약간의 별을 포함한 극히 희미한 모습을 관측할 수 있다.

      Σ2525

      알비레오의 남서쪽 1.2도 지점에 위치하는 7.5등급의 별로써 알비레오에 비해서 다소 희미해 보이지만 8.1등급, 8.4등급의 두 별이 2초 떨어져서 위치한다. 이들 별들은 우리의 태양과 아주 유사해서 지구와 같은 행성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실제로는 두별간의 거리가 120 A.U. 만큼 떨어져 있는데 이 거리는 태양과 명왕성 까지 거리의 3배나 되며,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200광년 정도 된다. 이 이중성은 대구경 망원경을 사용해도 의외로 쉽게 관측할 수 없는 대상으로 똑같은 분리각을 갖는 다른 이중성들보다 배율을 상당히 높여야 분리가 가능하다.
      1984년 7월 신성이 Σ2525 근처에서 폭발했는데 8월초까지 6등급으로 빛났다고 한다. 이 현상은 알비레오 근처에 위치하는 관계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는데 1987년 12월에는 15등급까지 어두워졌으며 상당히 자세한 성도인 Uranometria 2000.0에는 9.5등급으로 기록되어 있다.(Uranometria 2000.0성도에는 Nova 1984로 기록되어있는데 이는 Nova 1986의 잘못된 기록이다.)

      NGC 6800

      Σ2525의 남쪽 2도 지점에 위치한 큰 산개성단으로 10등급 이하의 25개 별들이 15분의 크기로 퍼져있다. NGC 6800의 남동쪽에는 Alpha성(α)과 8번성이 한쌍으로 붙어서 위치하기 때문에 NGC 6800의 위치 확인에 도움을 줄 것이다. 성단의 중심부는 밀집되어 있지 않지만 주위의 별들과는 쉽게 구별해 낼 수 있다. 4인치 굴절이나 8인치 반사망원경 정도로 관측하면 별들로 이루어진 멋진 곳선을 느낄 수 있으며 대체로 50여개의 별들로 성단의 윤곽을 형성하고, 9~10등급 정도 되는 별들이 Y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이 특이하다.




      NGC 6830

      M27에서 서쪽으로 몇도 움직이면 8등급의 산개성단 NGC 6830을 만나게 되는데 10인치급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20개의 별이 12분의 영역안에 퍼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쌍안경을 사용해도 주위의 많은 은하수 내의 별들속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NGC 6885

      18, 19, 20번성 근처에 있는 밝은 산개성단으로 5.7등급의 밝기에 7분의 크기를 갖고 있다. 밝은 대상이기 때문에 소구경 망원경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8인치급 망원경을 사용하면 밝은 20번성을 중심으로 희미한 별들이 듬성듬성 퍼져있는 것이 보이고 전체적으로 50여개의 별들이 삼각형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NGC 6940

      멋진 산개성단으로 작은 여우자리의 북쪽에 위치한다. 6.3등급에 31분의 크기를 가진 이 성단은 대략 60여개의 별들을 가졌는데 50mm 쌍안경을 사용하면 5~6개의 별들을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4인치 굴절이나 8인치급 반사망원경으로 관측하면 전체적으로 많은 희미한 별들로 이루어졌는데, 몇 개의 체인 모양과 원형의 별무리를 볼 수 있으며 멋진 노란색 별 하나와 이중성 Σ2698, 그리고 FG라고 알려진 변광성도 같이 위치한다고 한다.




      Van den Bergh 126

      정말 도전해 볼 만한 대상으로 8등급의 별을 둘러싸는 희미한 반사성운이다. 1888년의 NGC 목록과 1895년, 1908년의 IC 목록에도 빠져있는 VdB 126은 1965년 Beverly T. Lynds의 성운 목록에 다소 밝은 성운으로 기록되어 있다. 적어도 VdB 126은 붉은색에 민감한 필름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데 다른 반사성운들처럼 푸른색을 띈다. 아마도 6인치급 망원경을 통해서 안시 관측으로는 판별하기 힘들 것이다.


    *ngc6800, 6830, 6885, 6940은 skyview에서 추출시에 별속에 파묻혀 구별이 안되어
    'The Night Sky Observer's Guide'에서 scan하였습니다.

댓글 0

위지윅 사용
번호 분류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68 북천 이현동 393336 2003-05-22
67 북천 이현동 37522 2003-05-19
66 북천 이현동 33423 2003-05-15
65 북천 이현동 27519 2003-05-21
64 북천 이현동 26272 2003-05-12
63 북천 김경식 25397 2003-04-30
62 북천 이현동 23599 2003-05-13
61 일반 이현동 21734 2003-05-26
60 겨울 김경식 19053 2003-04-30
59 겨울 김경식 17467 2003-11-09
58 겨울 김경식 16784 2003-11-08
57 겨울 조미옥 16782 2003-11-08
56 겨울 김경식 15234 2003-11-08
55 겨울 조미옥 14836 2003-11-10
54 겨울 조미옥 14675 2003-11-09
53 겨울 조미옥 14540 2003-11-09
52 겨울 김경식 14536 2003-11-09
51 겨울 조미옥 14473 2003-11-09
50 여름 이현동 14120 2003-04-30
49 겨울 김경식 14085 2003-11-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