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관측 정보 ~☆+

  • 이중성 목록 및 Skysafari, Stelledoppie.it 검색 방법 [NSOG]
  • 조회 수: 991, 2021-01-18 21:24:37(2020-08-10)
  • NSOG를 다 보는 것이 목표인 나는 Deep sky 뿐만아니라 이중성도 빠짐없이 관측하고 있다. 소개된 대상을 모두 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이중성 목록을 공부하고 있는데 내 관측기를 읽어 주시는 분들은 과연 얼마나 목록을 알고 있으며 어떻게 읽는지 조차도 모르는 목록 기호를 이해하고 있을까 하는 의문을 항상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공유차원에라도 이런 글을 한 번 써보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을 가졌고 이렇게나마 어쭙잖은 지식을 공유해 보려 한다. 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이 NSOG에 등장하는 이중성 목록 및 이중성 Data 확인할 수 있는 앱인 Skysafari 그리고 웹사이트 인 Stelledoppie.it에서 검색하는 방법도 소개해 보고자 한다.


    이중성 목록

    NSOG에는 거의 40개가 넘는 방대한 목록에 포함된 이중성이 소개되어 있다. 이 목록들에 대해 일일이 검색하고 소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요 목록을 주로 소개하고 그렇지 않은 것들은 아래와 같이 Table로 만들어 간략히 소개해 보았다. (사실 이중성 관련 해외 서적인 The Cambridge Double Star Atlas-Cambridge University Press에는 이것 보다 더 많은 100여개의 목록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1. Struve 목록 (Σ : 스트루베)

    이중성 목록 중 가장 유명한 것으로 Friedrich Georg Wilhelm von Struve (이하 Wilhelm Struve)가 1827년 Catalogus novus stellarum duplicium 이란 이름으로 출간한 것이다. 이름에도 느껴지지만 Wilhelm Struve는 독일계로 독일 홀슈타인 태생(당시에는 덴마크령)이고 15세 때 러시아로 이주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 인근의 Dorpat(도르파트) 천문대(현재는 에스토니아에 위치함)에서 9인치 굴절망원경으로 1830년에서 1850년 사이 20여년에 걸쳐 12만 2천개의 별을 조사하고 5000여개의 이중성을 발견하여 목록화 하였다. 아래에 언급되겠지만 이중성은 이전 William Herschel 과 그의 아들인 John Herschel 및 James South에 의해 연구되었지만 Wilhelm Struve는 이전의 노력을 능가했다. 그러나 관측한 곳이 북위 50도 인근이다 보니 대부분의 대상이 적위 0도 이상에 위치하고 -30도 이하는 없다. 그리고 약 10등급 이내의 이중성만 포함한다. 카달로그 기호는 그리스 문자 시그마, Σ로 표기한다. 아래 Table에도 기재된 바 Struve 목록 출간 이후 Pulkovo(폴코프) 천문대로 이전하였는데 여기서 관측하여 발견된 대상을 정리한 목록을 Σ I로 표기하고 90여개의 대상이 포함되어 있다. Struve의 또 다른 업적으로 Pulkovo(폴코프) 천문대에서 베가의 시차를 측정하고, 항성의 거리 및 지구의 공전 운동을 최초로 결정하였다고 한다.


    2. Otto Struve 목록 (OΣ : 오토 스트루베)

    위의 Wilhelm Struve의 아들로 러시아 태생이다. 그 역시 아버지를 따라 이중성을 관측하였고 약700개 OΣ 목록을 만들었으며 OΣ 목록 정리 후 Pulkovo(폴코프) 천문대에서 추가 발견한 이중성을 OΣΣ 목록으로 따로 지정하였고 그 수는 200개를 조금 넘는다.


    3. William Herschel 목록 (H I~VI, H N)

    William Herschel은 Deep sky 뿐만 아니라 이중성도 관측하여 목록화 하였다. 이중성 분야에 대해서도 Wilhelm Struve보다 선구자라 할 수 있다. 1790년부터 1815년 사이에 약 800개의 이중성을 정리하였는데 아래 Table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H라고 목록 이름 뒤에 I부터 VI까지 단계를 나누었다. 이 단계는 이중성의 각거리에 따른 것으로 아래의 기준에 따라 정리했다고 한다.


    - H I : 어려운 각거리의 이중성 목록 

           (어려운 각거리가 얼마 정도인지 기준이 없는데 목록을 보면 대부분 0.5초각 이내의 매우 좁은 대상을 포함하고 있는데 1초각이 넘는 것도 있어 1초각 이내로 봐야겠다.)

    - H II : 가깝지만 측정 가능한 각거리 이중성 목록

           (역시 범위가 없는데 목록을 보면 0초각 대에서 5초각대가 주로 분포한다.)

    - H III : 5" ~ 15" 사이의 각거리 이중성 목록

    - H IV : 15" ~ 30" 사이의 각거리 이중성 목록

    - H V : 30" ~ 1' 사이의 각거리 이중성 목록

    - H VI : 1' ~ 2' 사이의 각거리 이중성 목록

    - H N : 1821년에 만든 카탈로그로 황도대의 하늘을 따라가면서 발견한 이중성 목록 

                      (왜 황도대를 따라 갔는지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니 William Herschel이 바로 천왕성 발견자였기 때문이다. 아마도 또 다른 행성을 찾고자 했을 것이다.)


    William Herschel 이중성을 검색이 Skysafari 및 Stelledoppie.it에서 쉽지 않은데 H I~N까지 모두 H라고 검색해야 되기 때문인데 이렇게 찾으면 I~VI 단계 및 H N의 모든 이중성이 검색되기 때문이다. 어느 것이 맞는지 확인이 쉽지 않다면 적경 적위 좌표를 보고 확인해야 된다.


    4. John Herschel (h), James South (S), James South and John Herschel (S, h) 목록

    세가지 목록을 한꺼번에 소개했는데 이유는 이 두 사람이 함께 관측하여 각자의 또는 공동의 목록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John Herschel은 William Herschel의 아들로 그의 동료인 James South와 함께 아버지가 관측하고 분류한 이중성을 모두 재검토 하였다. 1820년 대에서 1840년대 사이에 영국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18.5인치 반사망원경으로 10000개가 넘는 이중성을 관측하였고 목록을 만들었다. 참고로 당시 18.5인치 반사망원경은 현대로 치면 14인치 정도의 집광력을 가졌다고 한다. 아마도 코팅이 좋지 못하여 반사율이 나빴기 때문일 것이다. 아래 소개할 WDS라는 온라인 이중성 목록의 data base에 5732개의 h 목록, 206개의 S 목록, 104개의 S, h 목록이 등재되어 있다. 11등급대 이중성까지 포함되어 있기에 그 수가 다른 목록에 비해 훨씬 많다. 위에 언급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관측했는데 영국에서 볼 수 없는 별을 관측하기 위함이었다. John Herschel, James South의 목록은 대부분이 적위 0도 이상에만 있는 Struve 목록의 대상을 커버할 뿐만 아니라 남반구 이중성까지 포함한 최초의 목록이라 볼 수 있겠다. 그래서 NSOG 남반구의 별자리 이중성 list에는 h가 자주 등장한다.


    5. Willem van den Bos (B), R.T.A. Innes (I) and R.A. Rossiter (RST) 목록

    위에 언급한 John Herschel, James South 목록 외에 Willem van den Bos (B), R.T.A. Innes (I) 그리고 R.A. Rossiter (RST) 목록도 남반구 이중성에 대한 것이다. 이 세 목록은 비교적 최근인 1900년대 초반에 관측하고 정리되었다.


    6. Sherburne Burnham (β) 목록

    본 목록을 관측하다 보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다른 목록보다 유난히 1초각 이내의 각거리를 가진 이중성 및 10등급 이하의 어두운 이중성이 많이 분포한다는 것이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바로 알 수 있었는데 Sherburne Burnham이 근무한 천문대가 바로 대형 굴절망원경이 있는 Yerkes (여키스), Lick (리크) 천문대였기 때문이다. 그가 발간한 1900년대 초반의 가장 유명한 이중성 목록인 Burnham Double Star Catalogue는 무려 13665개의 이중성이 list up되어 있다.


    7. Washington double star (WDS) 목록

    드디어 가장 중요한 목록을 소개할 차례이다. WDS 목록이란 걸 처음 들어본 분들이 많을 텐데 사실 이건 목록 이라기 보다는 Data base라고 보는게 맞다. 왜냐면 본 목록은 어느 한 사람 또는 관측소에서 관측한 자료를 목록화 한 것이 아니라 이제껏 많은 사람들에 의해 작성된 목록을 어느 한 단체에서 Data base화 시킨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 단체가 관측한 것도 있긴 하다.) 그 단체는 바로 미 해군 천문대 (US Naval Observatory) 이다. Online system (https://www.usno.navy.mil/wds)에 list up된 이중성만해도 약 150000개에 이르고 지금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다. 물론 아래 Table에 기재된 목록들의 이중성을 모두 포함한다. 아래 Table에 “Skysafari 및 Stelledoppie.it 검색 방법 (WDS code)”라는 Column을 보면 짐작 할 수 있는데 Skysafari 및 Stelledoppie.it 상의 이중성 Data 가 모두 WDS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WDS에서 마련한 검색 code로 손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사실 이 code를 몰라도 좌표만 알아도 검색할 수 있는데 Skysafari에서는 WDS 적경 적위 값을 입력하면 되고 Stelledoppie.it에서는 그냥 적경 적위 값만 입력해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Σ1374의 적경은 09시 30.7분, 적위가 +38도 57분이라고 하면 


    - Skysafari : WDS 09307+3857

    - Stelledoppie.it : 09307+3857 


    이렇게만 입력해도 검색이 된다. 그러나 Code 입력에 비해 숫자를 좀 더 많이 입력해야 되기 때문에 약간 귀찮다.


    www.stelledoppie.it 에 대해

    본 싸이트는 이탈리아에서 구축된 이중성 전문 싸이트인데 이제껏 내가 찾아본 가장 방대하고 훌륭한 곳이다. 당연히 WDS의 자료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아래의 Data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사실상 이중성 Data의 모든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중성의 발견 년도, 최근 광도, 각거리, 궤도 data, 실제 거리 등등이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하나의 이중성이 여러 목록에 이름만 다르게 분포하는데 그것 까지도 모두 확인해 볼 수 있는 싸이트는 여기 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이중성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www.stelledoppie.it에 빠져 보기 바란다.


    - 149731 records from the WDS catalog (Release 2019-09-05)

    - 2942 records from the ORBIT6 catalog with 2475 matches (Release 2019-09-05)

    - 31649 records matched to HIPPARCOS catalog

    - 98660 records matched to Tycho-2

    - 53329 records matched to SAO catalog

    - 139155 records matched to Gaia DR2

    - 9110 records from the Bright Star Catalogue - Harvard Revised (HR) catalog

    - 184 common star names

    - 70 double star reports (63 distinct doubles)


    Double star catalogue table.jpg

댓글 6

  • 조강욱

    2020.08.23 04:07

    사실 난 스트루베밖에 몰랐음.. ㅎㅎ;;; 그것도 아들도 아빠도 있다고는 전혀..
    이중성의 세계.. 발을 들이기가 좀 무섭다고 할까요.. ㅎㅎㅎ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 최윤호

    2020.08.23 23:14

    달뜰때 유명한 대상만 보면 되죠. ㅎ 대부분은 그나물에 그밥입니다. ㅋ 

  • 조강욱

    2020.08.23 23:04

    NSOG 2권 궁수자리 314P의 h5003을 www.stelledoppie.it에서 검색하려니 찾기가 어렵네요 ㅠ_ㅠ 뭘 잘못했을까?
  • 최윤호

    2020.08.23 23:13

    h5003은 Stelledoppie.it에 등록되지 않은거 같아요. WDS 17591-3015로 검색하면 pz 6로 나오는군요. 궁수자리 첫 대상부터 오류가 있네요. ㅋ

  • 정기양

    2021.01.18 02:49

    우리가 선뜻 도전하지 않는 대상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 감사 드립니다.
    달 뜰때 놀 핑계가 없어졌네요. ㅎㅎㅎ
  • 최윤호

    2021.01.18 21:24

    ㅎㅎ 선생님의 AP130으로 보면 동글동글 멋질거 같습니다. 관측기 부탁드립니다. ㅎ

위지윅 사용
번호 분류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222 일반 김승희 52 2024-03-11
221 일반 조강욱 134 2024-02-25
220 관측목록/대상 김승희 457 2022-11-23
219 NSOG 최윤호 467 2021-11-04
218 일반 류혁 564 2022-12-28
217 관측목록/대상 최윤호 621 2021-12-27
216 관측목록/대상 최윤호 674 2021-12-09
215 관측목록/대상 최윤호 941 2021-07-11
NSOG 최윤호 991 2020-08-10
213 일반 류혁 1046 2022-01-25
212 일반 조강욱 1838 2020-03-16
211 일반 이한솔 1914 2020-10-28
210 일반 최윤호 1993 2020-02-09
209 NSOG 최윤호 2017 2019-06-21
208 일반 이윤행 2100 2019-09-09
207 NSOG 최윤호 2194 2019-01-16
206 DSW 최윤호 3480 2017-02-19
205 일반 서경원 3490 2019-09-11
204 DSW 조강욱 4123 2016-05-16
203 일반 최윤호 4225 2018-08-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