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관측 정보 ~☆+

새로운 댓글

최윤호

어제 매수팔 시 세미나 했던 내용 정리해 보았습니다.
==========================================================================================================
요즘 들어 관측기를 자주 쓰고 있습니다. 쓰면서도 나름 고민이 있는데 Deep-sky 관측 기록에 대해서 제가 쓰는 표현이 읽는 분들에게 얼마나 의미 전달이 될까에 대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저는 20인치로 관측하고 있고 최근 12등급 이하 어두운 대상을 많이 보고 있는데 가령 11등급 은하를 저는 밝게 보았다고 표현했으나 작은 구경에게는 좀 어둡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구경에 따른 그리고 관측자의 관측 수준에 따라 이런 의미 전달 자체에 괴리가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최근 생각이 든 게 내가 이렇게 표현한 것이 사실은 몇 등급 대 정도를 보는 거야 라는 기준이 제시된다면 읽는 분들의 망원경 구경이 다를지라도 내 구경에서는 이렇게 정도로 보이겠구나 짐작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근데 이에 대한 내용이 이미 NSOG의 Observation of Deep-Sky Objects chapter의 1.5 Visual impression에 기재되어 있더군요.^^;

일단 아래와 같이 NSOG 1.5 chapter 부분을 번역해 보았고 몇몇 문장에 대해서는 주석을 달아 보았습니다.

1.5 Visual impression

In our task to edit descriptions, we found that one observer would describe a particular object as fairly bright another would call it fairly faint. There is a fine line between pretty bright and pretty faint. We receive many conflicting descriptions so we had to set some guide lines as to what we would allow to be called bright, faint, large, or small.

우리는 한 관측자가 특정한 대상을 상당히 밝게 또 다른 관측자는 상당히 어둡게 묘사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꽤 밝다 꽤 어둡다 사이에는 적당한 선이 있습니다. 우리는 많은 상충되는 설명을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밝고 희미하고 크거나 작은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는 것에 관해 어떤 정해진 기준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We considered the object's surface brightness, the observer's instrument size, sky condition, and other factors. We have substituted "fairly" or "moderately" for the word "pretty" which we will reserve to describe aesthetically pleasing or beautiful objects.

우리는 대상의 표면 밝기, 관측자의 구경 크기, 하늘 상태 및 기타 요인을 고려했습니다. 우리는 미술적으로 즐겁거나 아름다운 물건을 묘사하기 위해 "꽤"이라는 단어를 "상당히" 또는 "적당히" 로 대체했습니다.
(역자 주 : 영어권에서는 Pretty라는 말이 미학적인 표현인가 봅니다.)

Table 1-2 shows the shorthand code that Dreyer used to describe the telescopic appearance of objects in the NGC Catalogue. Beside these descriptions we have indicated an arbitrary magnitude range that seems to give these impressions when viewed through telescopes of two popular sizes having 12” to 14” mirrors.

Table 1-2는 Dreyer가 NGC 카탈로그에 있는 Deep sky 대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던 속기 코드를 보여줍니다. 이 설명들 옆에 우리는 인기있는 12, 14인치 두 가지 크기의 망원경을 통해 보았을 때 이러한 인상을 주는 임의의 크기 범위를 나타냈습니다.

visual impression.jpg
(역자 주 : John Dreyer는 1886년 당시 영국의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왕립 천문 학회)의 제안에 따라 Herschel 집안이 관측한 General Catalogue를 NGC catalogue라는 하나의 list를 만드는 직무를 담당했습니다. 참고로 Herschel 집안은 Bright nebulae, Faint nebulae, Very faint nebulae, Planetary nebulae, Very large nebulae, Very compressed rich clusters of stars, Compressed clusters of small & large stars, Coarsely scattered clusters of stars 이렇게 총 8개의 General catalogue를 작성했다고 합니다. 
위 Table 1-2에 제일 왼쪽에 eF, vF, eS와 같은 축약어를 표기해 놓았는데 이것은 실제 Herschel이 관측 시 표기 한 것들입니다. 첨부된 “SAC 110 Best NGC”라는 자료의 4 page를 보시면 이것보다 Herschel 집안이 사용한 더 많은 축약어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Obviously, the object’s surface brightness plays a major factor in its appearance. If you use a smaller instrument, object will appear fainter, and if you use a larger telescope, objects will appear brighter than our example. Eyepiece magnification also affects your impression of an object’s brightness and size, so it is a good idea to compare objects with one particular eyepiece before inspecting them with higher powers.

분명히 대상의 표면 밝기가 보이는 모습에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더 작은 구경을 사용하면 물체가 더 희미하게 보이고 더 큰 구경을 사용하면 대상이 우리가 기재한 것 보다 밝게 보입니다. 접안 렌즈 배율 또한 물체의 밝기와 크기에 대한 인상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높은 배율로 확인하기 전에 하나의 특정 접안렌즈로 대상을 비교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Quite often, especially when the object has low surface brightness as is the case with galaxies and nebulae, the perceived diameter will appear smaller than values given in catalogues. A better indication of a galaxy’s visibility is surface brightness, calculated by dividing its magnitude by its area. In addition, the visual extent of the halo or disk is limited by the luminosity of the night sky itself. This is why a clear, dark observing site with minimal light pollution is essential; and, of course, you should observe deep-sky objects with the moon absent from the sky. Nearly all of our descriptions were made under the best possible sky conditions.

꽤 종종, 특히 은하와 성운과 같이 표면밝기가 낮은 대상에 대해서 인지된 크기는 카달로그 상 주어진 값보다 작게 보일 것입니다. 은하가 보이는 정도를 더 잘 나타내는 지표인 표면 밝기는 크기를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됩니다. 추가로 헤일로 또는 디스크의 가시 범위는 밤하늘 자체의 광도에 의해 제한 받습니다. 이런 이유로 최소한의 광 공해가 있는 깨끗하고 어두운 관찰 장소가 필수적입니다. 그리고 물론, 달이 없는 상황에서 깊은 관측을 해야 합니다. 거의 모든 우리의 묘사는 최상의 하늘 조건 하에서 이루어졌습니다.
==========================================================================================================

Obviously로 시작하는 뒤 부분의 내용은 당연히 아는 내용들이라 크게 의미는 없어 보이고 제가 전달하고 싶은 내용은 Table 1-2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말인즉은 은하(또는 성운) 그리고 성단의 밝기에 대해서 관측기 작성 시 한글로 수치적 등급을 나타 내고 싶다는 것인데 예를들어 은하의 세부 부분(핵, 코어, 헤일로 등)이 보이는 정도를 수치적 등급(정도)에 따라서 이렇게 영어로 표현 된 것을 저는 한글로 표기 하고 싶다는 것입니다. 
(밝기에 대한 부분만 한글로 표기하고 크기에 대한 부분은 어느 정도 숫자 표기 할 수 있기에 한글로는 표기하지는 않을 생각입니다.)

근데 약간의 문제있음을 알게되었는데 Table의 영어를 그대로 옮겨보면 영어권 사람의 표현 기준이 한글 표현 기준과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extremely faint(극도로 밝다.) Vary bright (매우 밝다.) Bright (밝다) 여기까지 좋은데 다음이 Considerably bright (상당히 밝다) 입니다. 그 다음도 pretty bright (꽤 밝다)인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상당히 밝다’, ‘꽤 밝다’를 ‘밝다’ 보다 당연히 더 강한 표현으로 인식한다는 것이지요. (저만 그런 거 아니죠? ㅋ)

그래서 아래 표와 같이 각 등급별 제 망원경과 제가 주로 쓰는 저만의 표기를 아래와 같이 기재해 보았고 앞으로 관측기 작성시 본 표의 내용을 앞서 기재하고 표의 내용대로 밝기 표현을 해 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Table기준이 12/14인치이고 저는 20인치 이지만 우리나라 하늘이 별로인 관계로 한 단계 정도만 낮게 (어둡게) 적용해도 크게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사실 제일 걱정되는 것이 제 자신인데, 정말 이 표의 세분화된 밝기 정도를 제가 정확히 감지해 낼 수 있느냐가 관측기의 객관성의 기준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결론적으로 관측 내공을 더 길러야 된다는 것이군요. ㅎ

20 inch impression.jpg

(노란 부분만 관측기에 표기할 생각임.)


돌아가기

XE Login